경북도 무형문화재 안동놋다리밟기의 상설공연이 지난 14일 첫 공연을 시작으로 오는 11월 4일까지 토요일 마다 총 4회에 걸쳐 안동댐 개목나루에서 펼쳐진다.
이번 공연에는 안동놋다리밟기보존회 김경희 보유자를 비롯한 안동놋다리보존회원 60명이 참여하며 올해 노국공주선발대회에서 선발된 동부공주 안동부설초등학교 3학년 권나경 학생, 서부공주 안동강남초등학교 3학년 남지원 학생이 출연한다.
안동놋다리밟기는 안동지방에서 작은 보름날이나 대보름날 마을 중심으로 부녀자들이 동부와 서부로 갈라 놀았던 안동의 대표적 여성 대동놀이다.
안동놋다리밟기의 유래는 고려 31대 공민왕이 홍건적의 난을 피해 광주, 충주를 거쳐 안동으로 몽진해 약 70일 동안 머물게 된 역사와 함께한다.
공민왕 일행이 안동 소야천에 다다라 다리가 없는 큰 내를 건너기 위해 왕과 노국공주(왕후)는 신발을 벗어야 했다. 이를 딱하게 여긴 주민들이 허리를 굽혀 다리를 만들고 노국공주가 등을 밟고 건너게 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온다.
놀이는 동부와 서부로 나눠 이뤄진다. 공민왕이 포로가 됐다 풀려나는 것을 형상화한 △`실감기`와 `실풀기`를 시작으로 △편을 갈라 춤을 추며 흥을 돋우는 `대문놀이` △시연자들이 등을 굽히고 강을 건너는 공주를 표현한 `웅굴놋다리` △자기편 공주의 다리를 놓기 위해 동부와 서부가 서로 밀치며 싸우는 `꼬깨싸움` 등이 진행된 후 한 줄 놋다리를 끝으로 마무리 된다.
김경희 보유자는 "안동놋다리밟기가 많은 관광객들에게 알려지고 서로 교감하는 장이 되도록 노력을 아끼지 않겠다. 안동의 무형문화재에 많은 관심을 부탁드린다"고 전했다.
안동시 관계자는 "안동놋다리밟기가 지속적으로 전승·보전되고 지역을 넘어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관광자원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오명수 기자oms7227@nat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