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같이 일교차가 큰 환절기에는 심뇌혈관 이상이 가장 많은 시기다.  평소 고혈압 환자 및 혈관이 약해진 노년층은 심혈관 질환 그중에서도 심정지를 주의해야 한다. 급성심정지 환자가 우리 주변에서 발생했을 때 가장 중요한 것은 심정지 직후 4분 이내 CPR(심폐소생술) 시행이다.  CPR은 심장 기능이 멈춘 환자에게 흉부 압박, 인공호흡, 제세동 등의 응급처치 과정을 통해 심장과 뇌에 혈액을 순환시켜 심장 기능 회복하는 데 결정적인 영향을 주는 응급처치다.  생명을 살리는 4분, 이는 심정지 환자를 살릴 수 있는 `골든타임`으로 뇌 손상을 막기 위한 최소한의 시간으로 불린다.  하지만 119 신고 후 사고 장소로의 구급차 평균 도착시간은 7~8분으로 골든타임을 넘겨 버리는 경우가 종종 있으며 이 때문에 목격자의 심폐소생술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심정지 발생 초기에는 가슴 압박만으로도 사람을 살리는 데 매우 효과적이므로 비전문가일지라도 119구급대원이 현장에 도착하기 전까지 가슴 압박을 계속해서 실시하면 된다. 또한 심정지 상황을 목격한 경우 119 신고 시 구급 상황관리센터에서 심폐소생술 방법을 안내해 신고자가 심폐소생술을 실시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있으니 당황하지 않고 심폐소생술을 시행할 수 있다.  이처럼 급성심정지는 언제 어디에서 누구에게 발생할지 모르기 때문에 `나에게 이런 일이 일어났겠어?`가 아닌 `나에게도 이런 일이 일어날 수 있다!`라는 생각으로 평소에 대응하기 위한 시민교육이 필요하다.  `질병관리청 2020년 급성심정지 발생 현황`에 의하면 지난 2020년 한 해 동안 119구급대가 이송한 병원 밖 급성심정지 발생 건수는 3만 1652건으로 60대 이상의 경우 70%에 해당된다고 한다.  초고령화 사회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하는 상황에서 60대 이상의 급성심정지 환자의 비율이 70%라는 것은 매우 심각한 문제다.  영주소방서에서는 시민들이 심폐소생술 교육을 상시에 받을 수 있도록 응급처치 상설교육장을 운영하고 있다.  또한 지난해 `10·29 참사` 이후 영주소방서 자체 특수시책 `2023년 심폐소생술 전문화 과정 운영`으로 긴급구조기관 대상 우선적인 심폐소생술 전문화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현재 다수 사상자 발생 및 재난에 대비해 영주경찰서, 군부대 및 한국도로공사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심폐소생술의 이론 및 실습, 자동심장충격기 사용법의 피드백 과정을 거쳐 교육 이수증을 발급하고 있다.  형식에 치우친 온라인교육이나 인터넷 강의가 아닌 체험을 통한 현장 교육을 통해 몸에 익힌다면 어떤 상황이 닥쳐도 당황하지 않고 소중한 한 생명이라도 더 구할 수 있는 아주 의미 있는 일이 아닐까 생각된다.  급성 심정지 환자에게 우리의 응급처치가 어떠한 유능한 의사보다 더 중요하다는 사실을 잊지 말고 우리 주변에 있는 이웃의 도움으로 급성심정지 환자의 생명과 건강을 보호하기 위한 CPR과 자동심장충격기 사용법 교육이 우리 사회의 전반에 필수지식으로 확산되기를 바란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