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과일에 설탕을 입힌 `탕후루`가 유행하는 가운데 10대 청소년 5명 중 1명은 충치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약과, 개성주악, 마카롱, 흑당, 달고나 등 단맛 간식들이 잇달아 유행하면서 10대 청소년들의 치아 건강에도 빨간불이 켜졌다는 우려가 나온다.
10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이종성 국민의힘 의원실이 국민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2017년~2022년 치과 진료 인원 및 충치 환자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10대 충치(치아우식증) 환자는 약 100만명으로 5년 전보다 약 30% 증가했다.
전체 10대 인구 중에서 충치 환자 비율도 늘고 있다.
지난 2017년 전체 10대 인구에서 충치 환자는 14.8%였지만 지난해는 21.8%로 증가했다. 10대 5명 중 1명은 충치를 가지고 있는 셈이다.
치과 진료를 본 10대 중 충치 환자 비율도 지난 2017년 38%에서 지난해 47%까지 늘었다. 치과를 찾은 10대 2명 중 1명꼴로 충치 진단을 받은 것이다.
전체 연령대 중에서도 특히 10대에서 충치 환자 증가세가 두드러졌다.
60대 미만 환자 중 2017년보다 지난해 충치 환자가 증가한 연령대는 10대가 유일했다. 전체 충치 환자에서 10대가 차지하는 비율도 5년 새 13%에서 16%로 증가했다.
10대 충치 환자의 증가는 최근 단맛 간식의 유행과 관련이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탕후루가 유행하기 전부터 `당 충전(단 음식으로 스트레스 풀기)`, `단짠단짠(단 음식과 짠 음식을 번갈아 먹는 것)` 등의 표현이 유행하면서 젊은 층의 당 섭취도 늘어났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에 따르면 냉동·간편 조리식품 부문에서 탕후루는 10대가 가장 많이 검색한 식품으로 꼽히고 있다.
초등생, 10·20대 사이에서는 탕후루 만드는 방법, 탕후루 ASMR 등 관련 영상이 유튜브에서 폭발적인 인기를 누리면서 탕후루가 하나의 놀잇감으로 돼 가고 있다.
탕후루가 올해 본격적으로 유행했다는 점을 고려하면 10대 충치 환자는 더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한 현직 치과의사는 유튜브 영상에서 탕후루를 먹어본 뒤 "탕후루 유행이 앞으로 계속된다면 조만간 강남에 집을 살 수 있지 않겠냐는 생각이 든다"고 평가하기도 했다.
탕후루에 사용되는 과일은 대개 딸기, 파인애플, 블랙 사파이어, 샤인머스캣 등으로 당도가 높은 과일이다.
여기에 설탕과 물엿을 코팅하기 때문에 당분이 과도해진다.
탕후루의 당분은 `단순 당`으로 혈당을 급격하게 올릴 수 있다.
단순 당은 혈당의 급상승과 급하락을 유도하는 `혈당 스파이크`의 주요 원인으로 꼽히고 있다.
혈당 스파이크가 반복될 경우 혈관에 무리를 주게 돼 당뇨병으로 이어질 수 있다.
또한 탕후루를 계속 섭취할 경우 당뇨, 소아비만, 고혈압, 고지혈증, 동맥경화 등 각종 성인병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어린이 및 청소년 비만으로 인해 자신감 부족과 무기력, 의욕 상실 등 정신적 우울감을 초래할 수 있다.
정부는 이제라도 소아·청소년 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당 과다 섭취 문제 논의를 서둘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