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사를 짓는 농부에게 잡초는 병균생산지이며 있으면 안 되는 무용지물이다. 따라서 잡초 제거를 위해 농민들은 토양에 부직포를 덮고 톱밥을 뿌리는 등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있지만 이런 조치들은 한시적으로 무엇보다 정부 부처의 관심과 조치가 기대되는데 현실은 미온적 태도를 취하고 있어 농민들의 실망이 크다.  톱밥과 부직포를 쓰지 않고 잡초를 잡는 방법은 제초제를 뿌리는 방법이 밖에는 없다. 제초제만 사용할 경우에는 토양 오염과 지하수 오염 등 환경파괴가 우려된다. 또한 내성이 생긴 수퍼 잡초까지 생긴 현실에서는 더 많이 더 독한 제초제의 사용이 불가피해 환경파괴가 안될 수 없다.  작물체(作物體)에서 전 수확량의 약 10%는 잡초(雜草) 때문에 상실된다. 따라서 작물 생육에는 제초제를 살포해야 한다. 이상적인 제초제라고 하면 저농도로서도 효과가 있고 농작물 생육에는 영향을 주지 않으며 또한 쉽게 분해되면서 지하수까지에는 도달하지 않는다는 조건이 필요하다.  하지만 이런 필요조건을 충족하는 제초제를 만드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거니와 오히려 농경연이 FAO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한 우리나라의 1ha당 농약 사용량은 지난 2016년 기준 11.8kg에 달했다. 호주(1.1kg)·캐나다(1.6kg)와 비교하면 농약을 10배 가까이 더 쓰는 것이다.  세계 최대의 농업생산국으로 꼽히는 미국은 2.6kg에 그쳤다. 영국(3.2kg)·프랑스(3.7kg) 등도 농업의 공익적 가치를 중시하는 나라답게 우리보다 농약을 훨씬 덜 쓰고 있다.  무분별한 제초제로 사용으로 인한 토양 오염, 수질 오염에서 벗어나 자연경관 보전이나 생태계 보전 등 농업이 창출하는 공익적 가치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지만 한국 농업의 실상은 국민 기대에 한참 미치지 못하는 게 현실이다. 더욱이 갈수록 확대되는 제초제의 폐해가 매우 심각해 더이상 방치할 수가 없고 친환경에 대한 국민적, 시대적 요구를 거스를 수 없다는 것이다.  제초제의 폐해를 살펴보면 맹독성 물질인 파라쿼트 성분이 함유돼 있는 제초제는 조금만 인체에 흡수돼도 입과 혀·식도·위 등 접촉한 모든 부위에서 세포 괴사가 일어난다고 한다.  위 세척을 하더라도 이미 흡수된 성분이 신장기능과 세포 보호 기능을 망치고 폐를 섬유화시켜 끝내 숨지게 할 정도로 독하다.  제초제는 화학적 구조나 작용특성·처리방법 등에 따라 분류하는데 그 어떤 제초제라도 희석 농도를 조금만 높이면 모든 식물에 피해를 준다.  예를 들면 전북 전주시의 한 주택단지내 느티나무 여러 그루가 말라 죽는다는 신고가 전북도 산림환경연구소에 접수됐다.  조사 결과 제초제 피해로 나타났다. 누군가 고의로 수간에 제초제를 주입한 것이었다. 같은 전주시 평화동과 전미동 등에서도 최근 조경수와 가로수 수십 그루가 밑동에 구멍이 난 채 말라 죽는다는 신고가 이어졌다고 한다.  제초제의 폐해는 사람에게도 예외가 없다.  제초제 탓에 선천적 기형으로 고통받는 아이는 한두 명이 아니다. 한 여성은 경마장에 뿌린 제초제 탓에 기형아를 낳았다는 뉴스가 허다하다.  해외의 예를 들어보면 스리랑카에서는 지난 2000년대 초반부터 2만명 넘는 농부가 신장 질환으로 세상을 떠났다. 농촌 인구의 15%는 현재도 신장 질환을 앓고 있다. 1950년만 하더라도 프랑스 농지에는 1ha에 2t의 지렁이가 살았지만 지금은 같은 면적에 서식하는 지렁이 규모가 200kg 수준밖에 안 된다. 생태계가 파괴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증거이다. 또한 미국에서는 자폐아가 급증하고 있는데 제초제가 영향을 끼쳤다는 게 관련 의학자들의 타당성있는 주장이다. 이쯤되면 농작물을 먹고 있는 것이 아니고 숫제 제초제를 먹고 있는 셈이다.  제초제의 폐해를 다시 정리해 보면 토양 오염, 수질 오염, 농작물 수확 감소, 농약 중독, 농작물 오염 등 경제적, 환경적 손실이 실로 막대하다.  농수산부, 환경부 등 정부 관련 부서에서는 이에 대한 획기적인 대책을 시급히 마련해야 한다. 박삼진 기자wba112@daum.net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