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7·23 전당대회를 앞두고 김건희 여사의 `명품백 수수` 사과 여부와 관련한 문자메시지가 국민의힘 전당대회 이슈로 떠올랐다.
4·10 총선을 지휘했던 한동훈 당시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대국민 사과를 하겠다`는 취지의 김 여사 문자를 무시했다는 주장이 제기되면서다.
현직 언론인이 지난 4일 라디오 시사 프로그램에 출연해 김건희 여사의 `명품백 수수` 사과 여부와 관련한 문자메시지 내용을 언급하며 불거졌다. 김 여사가 "저의 문제로 물의를 일으켜 부담을 드려 송구하다", "대국민 사과를 포함해 어떤 처분도 받아들이겠다" 등의 메시지를 한 후보에게 보냈다는 주장이었다.
이 문자를 앍은 한 후보가 아무 답변도 하지 않아 김 여사는 모욕을 느꼈고 윤석열 대통령도 이를 알고 격노했으며 비대위원장 사퇴 요구 등 `윤-한 갈등`의 표출로 이어졌다는 것이다.
한 후보는 답을 안 한 이유에 대해 "사적인 방식으로 공적이고 정무적인 논의를 하는 것이 적절하지 않다"고 했다. 그러면서 "실제로는 사과를 하기 어려운 사정이 있다는 것을 강조하는 취지였던 것으로 기억한다"라고 말했다.
김 여사의 문자가 `사과하겠다`는 게 아니라 오히려 `사과하기 어렵다`는 내용이었다는 것이다. 한 후보는 또 "왜 지금 이 시점에 이런 얘기가 나오는지 의아하다"라고 했다. 전대 흐름을 바꾸기 위한 누군가의 의도적 플레이일 수 있다는 것이다.
문자 논란이 과열되자 여당 지도부가 자제를 촉구하고 나섰다. 충돌이 계속된다면 지도부 차원에서 개입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나경원·윤상현·원희룡 당대표 후보 측은 김 여사의 사과 의사를 무시한 한동훈 후보측의 책임론을 집중 부각했다. 한 후보가 당시 문자에 호응해 사과를 했다면 총선 결과가 달라졌을 것이라는 주장이다.
이에 맞서 한 후보 측은 당시 `사과 불가` 여론이 친윤계를 중심으로 당내에 팽배했다고 반박했다.
전당대회에서 읽씹 논란이 과열되자 당 지도부는 당혹감을 감추지 못한 모습이다. 특히 이 논란이 과열될 경우 지도부 차원에서 개입해 대응하겠단 메시지를 내기도 했다.
황우여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8일 오전 서울 여의도 중앙당사에서 열린 비대위에서 "전당대회가 과도한 비난전 양상으로 흐르고 있다는 일부 지적에 귀 기울여야 한다"면서 "당헌·당규에 어긋나는 언행은 선거관리위원회와 윤리위원회를 통해 즉시 엄중한 조치가 내려질 것"이라고 말했다.
문자 원문이 공개되지 않은 상황에서 양측의 주장이 엇갈리는 만큼 김 여사가 왜, 어떤 맥락에서 문자를 보냈는지 단정적으로 판단할 순 없다. 한 후보가 당시 문자를 받고 공식 채널로 용산 측에 진의를 파악하려 했는지, 안 했다면 왜 안 했는지 등 궁금한 게 한둘이 아니다.
일단 논란이 불거진 만큼 의혹이 말끔히 해소될 필요가 있다. 다만 미래 비전 경쟁은 온데간데없고 `배신자` 공방만 벌이다 난데없이 `문자` 공방까지 벌이는 여당 전대 모습은 한심하기 짝이 없다.
당 대표 후보자들은 과거보다는 미래 비전을 제시하고 민생을 위해 무엇을 할 것인지를 두고서 경쟁해야 하는데도 불구하고 총선에서 참패한 집권 여당이 보여줄 게 이런 다툼뿐인지 국민들의 한숨이 깊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