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의 영향으로 자영업자 10명 중 4명이 현재 폐업을 고려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자영업자들의 도미노 폐업을 막기 위한 정책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한국경제연구원(한경연)이 시장조사 전문기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자영업자(500명 응답)를 대상으로 `자영업자실태조사`를 진행한 결과 자영업자 10명 중 4명(39.4%)은 현재 폐업을 고려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폐업을 고려중인 자영업자 중 94.6%는 경영부진을 폐업 고려 이유로 꼽았다. 이를 구체적으로 구분하면 매출액 감소(45.0%)가 가장 높았고, 고정비 부담(26.2%), 대출상환 부담 및 자금사정 악화(22.0%)가 뒤를 이었다.
폐업을 고려중인 자영업자의 경우 현 상황이 지속될 경우 예상 폐업시점은 3개월 이내가 33.0%로 가장 많았고 3개월∼6개월 32.0%, 6개월∼1년 26.4%, 1년∼1년 6개월 8.1%, 기타 0.5%의 순으로 나타났다. 1년 이내 폐업을 예상하는 자영업자 비중이 91.4%에 이르는 심각한 상황인 것이다.
자영업자 10명 중 9명(90.0%)은 코로나19 4차 대유행 이후 월 평균 매출액이 올해 상반기 대비 감소했으며 매출 감소폭은 평균 -(마이너스)26.4%로 나타났다.
매출뿐만 아니라 순이익도 크게 감소했다. 4차 대유행 이전보다 월 평균 순이익이 감소했다는 응답 비중이 89.2%로 압도적이었으며, 순이익 평균 감소폭도 -25.5%에 달했다.
자영업자 중 60.4%는 코로나19 직전(2020년 1월)에 비해 대출액이 감소했으며 39.6%는 대출액이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대출액이 감소했다고 응답한 자영업자들은 주요 이유로 향후 금리 상승우려(29.5%), 대출한도 문제(22.9%), 폐업 예상으로 인한 대출 축소(19.6%)를 지적했다.
대출액이 증가했다고 응답한 자영업자들은 주요 이유로 임대료, 인건비 등 고정비 지출(49.0%), 기존 대출이자 상환(23.6%), 재료비 지출(16.7%)을 꼽았다.
자영업자들의 자금사정 문제 해결을 위한 정부의 정책지원 방안으로 `거리두기 지침에 따른 영업손실 보상 확대`(28.4%)를 우선적 과제로 꼽았다. 또 임대료 직접 지원(24.9%), 백신 접종 확대(16.5%), 대출상환 유예 만기 연장(12.7%) 등이 주요 정책 과제로 지목했다.
자영업자들은 거리두기 조치 장기화 등으로 그 어느 때보다도 어려운 시기를 겪고 있으며 이제는 대출을 통한 자금 확보도 여의치 않은 상황이다.
이처럼 사회적 거리두기 4단계로 직격탄을 맞은 전국 자영업자들이 다음주야간 차량시위에 나선다.
코로나19 대응 전국자영업자 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는 8일 밤 11시부터 익일 오전 1시까지 전국 동시다발로 자영업자 차량시위를 한다고 밝히고 있다. 이번 시위는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 등 현 방역 체계가 감염 전파를 줄이는 데 실질적인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자영업자들의 생계에만 타격을 준다는 비판에 따라 추진된다.
신속한 집단면역 형성과 거리두기 효율화 등으로 자영업자의 어려움을 타개하는데 총력을 기울여야 이들의 차량시위와 폐업을 막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