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례 없는 강력한 규제에 은행권이 대출 취급에 소극적인 모습을 보인 여파다.
규제가 발표 이후 하루 만에 전격 시행되며 미처 전산에 반영하지 못한 은행권이 비대면 접수를 중단한 영향도 있다.
6일 금융당국에 따르면 6·27 규제 발표 후 1주일(6월 30일~7월 3일)간 서울 지역 은행권 일일 주택담보대출(주담대) 신청액은 3500억원대로 집계됐다.
이는 대출 규제 발표 전 주(6월 23~27일) 일평균 주담대 신청액이 7400억원대에 달한 것과 비교하면 약 52.7% 감소한 수준이다.
규제 발표 당일인 지난달 27일에는 하루에만 무려 1조원의 신청이 들어온 것으로 전해졌다.
이는 금융당국이 6·27 부동산 대출 규제로 수도권·규제 지역 내 주담대 최대한도를 6억원으로 제한했고 하반기 은행권 가계대출 총량을 절반 감축하기로 하면서 은행권이 대출 취급을 소극적으로 전환한 영향이다.
이미 상반기 중 가계대출 총량 목표치를 초과한 은행도 있어 새 목표치를 받기 전까진 소극적으로 영업할 수밖에 없다.
또한 대출 규제 사항을 각 은행 전산에 반영하기 위해 일시적으로 비대면 접수를 중단한 것도 대출 감소에 영향을 미쳤다.
현재 별도 제한 없이 비대면 영업 중인 은행은 IBK기업은행 정도로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중에선 국민은행만이 지난 2일 비대면 주담대 영업을 재개했다.
다만 이마저도 28일 이후 계약 건은 신청할 수 없는 상태다.
한편 지난 3일 주요 5대 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755조1865억원을 기록했다.
규제 시행 전날인 지난달 27일의 가계대출 잔액이 753조7740억원이었던 것과 비교하면 엿새 만에 약 1조4125억원 늘어난 셈이다.
주담대 잔액은 지난달 27일 기준 598조2320억원이었으나 지난 3일에는 599조8306억원을 기록해 약 1조5986억원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정부의 고강도 대출 규제에도 가계대출과 주담대 잔액이 늘어난 건 규제 이전에 접수된 대출 신청 건이 시차를 두고 이행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통상 은행이 대출을 신청받으면 실행되기까지 1~3개월가량 소요된다.
업계 관계자는 매수자가 매매 포기 의사를 먼저 밝혔다면 최소 수천만원에서 억대 계약금을 손해 보는 구조라며 정부 규제가 시장 심리에 큰 영향을 미쳐 매수자들이 큰돈을 포기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 벌어졌다고 하고 있다.
앞으로 매매 시장은 급격히 얼어붙을 것으로 전망된다.
대출 한도 6억원으로 제한되면서 현금 유동성 없이 매매 시장에 참여하기 어려운 구조가 됐기 때문이다.
여기에 집값 하락 전망이 우세한 점도 매수 심리를 위축시키고 있다.
실제 시장 변화도 감지되고 있다.
부동산R114에 따르면 이달 첫째 주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 대비 0.02% 떨어져 8주 만에 하락 전환됐다.
부동산 전문가는 급매물 등장에 따른 가격 하락이 예상된다고 말하고 있다.
다만 일부 현금 부자들은 매수 시기를 저울질하고 있다.
돈줄이 막힌 다주택자들이 빠른 현금화를 위해 시세보다 저렴한 매물을 내놓을 수 있어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