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총 전국보건의료산업노조(이하 보건의료노조)가 공공의료 확충 등을 요구하며 다음달 2일 총파업을 예고한 가운데 대구지역 노동·시민·사회단체와 야당 등이 총파업 지지를 선언했다.  민주노총 대구지역본부와 정의당 대구시당 등은 31일 대구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더 이상 보건의료 노동자의 희생과 헌신만으로는 K-방역을 지켜낼 수 없다"며 "이들의 처우 개선과 공공의료 및 보건의료인력 확충으로 근본적인 대책을 세워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 단체는 "2일 예정된 보건의료노조의 파업은 코로나19 상황 속에서 또다른 방역 위기를 가져오는 것이 아니라 보다 근본적인 대책 마련을 촉구하는 투쟁으로 코로나19를 완전히 극복해 가는 과정의 시발점이 될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현재 우리나라는 10%도 안되는 공공병원이 80%가 넘는 코로나19 환자를 감당하고 있다. 보건의료 노종자들이 코로나19 최전선에서 희생과 헌신으로 방역에 힘쓰는 동안 정부는 과연 무엇을 했느냐"며 "하루빨리 공공의료를 확충하고 공공의료 노동자 등에 대한 지원을 확대하라"고 촉구했다.  앞서 보건의료노조는 보건인력 확충 등을 요구하며 다음달 2일 총파업을 예고한 상태다. 조합원 81.8%가 투표에 참여했으며 89.8%가 파업에 찬성했다.  전국에서 1만여명, 대구에서는 100여명의 보건의료노동자가 파업에 참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김진경 보건의료노조 대구경북지역본부장은 "많은 조합원들의 투표율과 높은 찬성률에서 보여주듯 더 이상 이대로는 버틸 수 없어 일손을 놓지만 파업 중에 환자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생명과 직결되는 업무에는 필수인력을 배치하면서 파업에 나서겠다"고 했다.  이어 "이번 총파업은 인력 확충과 처우 개선을 확보하고 감염병전문병원 설립과 공공의료 확충을 이뤄내겠다는 보건의료노조 조합원들의 간절한 의지가 담긴 절박한 투쟁"이라고 덧붙였다.  보건의료노조는 △감염병전문병원 설립 △코로나19 치료병원 인력 기준 마련 △생명안전수당 제도화 △공공병원 시설·장비·인프라 구축 △직종별 적정인력 기준 마련 및 간호사 1인당 환자 수 법제화 △5대 불법의료(대리처방, 동의서, 처치·시술, 수술, 조제) 근절 △의료기관 비정규직 고용 제한을 위한 평가 기준 강화로 양질의 의료 서비스 제공 △공공의대 설립 등을 정부에 요구하고 있다.  앞서 보건복지부와 보건의료노조는 지난 30일 제12차 노정 실무협의에 나섰으나 핵심 쟁점에서 입장 차이를 좁히지 못했다. 이종환 기자jota123@hanmail.net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