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산시 백천동 551-1 일원 일부 구간의 길이 막혀 시민과 학생들이 차도로 내몰리고 있다는 민원이 제기되고 있다.
더구나 해당 구간은 문명중·고등학교 학생들이 등하교 시 이용하는 통로임에도 불구하고 최근에 길이 막히면서 보행 안전에 적신호가 켜졌다.
이 문제는 국토교통부 소유 토지 일부를 대부받아 주차장으로 사용하던 한 식당이 폐업하면서 시작됐다. 이후 대부계약을 토지 소유주가 승계받았고 토지 소유주는 외부 차량 주차를 막기 위해 주차장 입구에 줄을 통째로 쳐 차량과 사람의 출입을 막았다. 그러나 해당 부지는 애초 보행자 통행을 고려해 폭 1.5m가량의 통로를 확보하는 조건으로 대부된 땅이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하지만 토지 소유주는 통행로까지 포함해 출입을 막은 상태다.
토지 소유주 A씨는 "줄을 묶을 고정 시설물이 없어 외곽에 있던 나무에 고정시켰다"고 말했지만 그로 인해 실질적인 통행로가 막혀 보행자들은 갓길로 다녀야 했다. 그러나 갓길마저 주차된 차량으로 인해 보행자들은 차도로 밀려나 위험성은 더 커지고 있다. 실제로 등하굣길에 학생들이 차를 피해 위험하게 통행하는 모습이 자주 목격되고 있다.
주민들은 이 같은 상황을 경산시에 수차례 제기했지만 뚜렷한 해결책은 제시되지 않고 있는 상태로 여전히 통행로는 막혀있는 상황이다.
인근 주민 B씨는 "등하교 시간 아이들이 차를 피해 아슬아슬하게 학교에 가는 걸 보면 너무 불안해 보인다"며 조치가 시급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에 대해 경산시 관계자는 토지 소유주에게 민원 상황을 알리고 통행로 확보를 권고했지만 지주는 차일피일 미루고 있다. 대부계약은 `민원이 잦거나 불법적인 사항이 발생 시 직권으로 계약을 해지할 수 있다`고 돼있다.
시민 안전과 직결된 사안인 만큼 시의 적극적인 현장 점검과 행정 조치가 시급하다. 단순 민원 처리 차원을 넘어 공공성과 안전을 위한 근본적인 대책 마련이 필요해 보인다.
강두완 기자backery@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