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화군 버섯학교 교육생들이 선진 버섯 농장을 견학하며 지역 버섯산업 활성화를 위한 배움을 이어갔다. 지난 4일, 25명의 교육생들은 충북 증평군의 정의농장을 방문해 상황버섯 재배 현장을 둘러보고,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인삼특작부의 스마트팜 모델을 체험했다.이번 견학은 봉화군이 2025년까지 추진하는 ‘봉화버섯학교’ 교육과정의 일환으로, 교육생들은 약용버섯 재배기술을 습득하고 현장 문제 해결 능력을 기르는 기회를 가졌다. 군의 버섯산업을 활성화하고 전문 농가를 육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충북 증평군 정의농장에서 교육생들은 연간 1억 원의 소득을 올리고 있는 상황버섯 재배 기술을 배웠다. 배명인 대표는 상황버섯의 상품화 전략과 재배 노하우를 공유했다. 상황버섯은 산뽕나무와 참나무 등에 기생하는 약용버섯으로, 항암효과가 뛰어나고 한방에서 귀하게 여겨진다.이후 교육생들은 음성군 소재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인삼특작부를 방문해 느타리버섯 재배시설 스마트팜 모델을 견학했다. 농촌진흥청이 개발한 이 스마트팜 모델은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해 재배시설 내부의 환경을 자동으로 관리하며, 이를 통해 농가의 생산량과 소득이 평균 2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마지막 일정으로 교육생들은 문경시의 가은표고버섯 농장을 방문했다. 정현호 대표의 안내로 톱밥 표고버섯재배사 시설을 둘러보며 재배기술을 익혔다. 톱밥배지는 버섯 재배 공간을 줄이고 재배기간을 단축해 연중 생산이 가능하게 하며, 노동력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최근 많은 농가에서 주목받고 있다.장영숙 농업기술과장은 “군의 버섯산업 활성화와 농가 소득 증대를 위해 선진 농장 벤치마킹을 추진하고 약용버섯종균센터와 연계한 전문 농업인 육성 교육과정을 지속적으로 운영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현장 견학은 봉화군 버섯산업의 미래를 밝히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정휘영 기자jhy4430@hanmail.net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