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섬유박물관은 개관 10주년을 맞아 5일부터 오는 10월 12일까지 특별전 `Beyond Textile: 섬유, 경계를 넘다`를 개최한다.  전시는 섬유의 무한한 가능성과 첨단 기술력을 조명하고 섬유가 단순한 의류 재료를 넘어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핵심 소재로 자리매김하는 과정을 소개한다. 나아가 섬유가 미래 사회를 어떻게 변화시킬 수 있는지에 대한 비전도 함께 제시한다. ■ 섬유, 직물 너머 산업의 핵심이 되다  이번 특별전은 첨단 소재로서의 섬유, 첨단 기술과의 융합을 통해 산업 전반으로 확장되는 섬유의 활용성, 지속 가능한 미래를 향해 삶과 문화를 바꾸는 섬유를 세 가지 전시 섹션으로 구성해 섬유가 넘나드는 경계와 그 안에서 실현되는 변화를 이야기한다.  전시는 총 3부로 구성된다. 1부 `섬유, 소재를 혁신하다`에서는 섬유가 고기능성 합성소재로 진화하며 미래 산업의 기반이 돼가는 과정을 다룬다.  특히 `보이지 않는 옷` 섹션에서는 메타물질의 원리를 응용한 이른바 `투명망토` 기술을 소개하며 직접 원리를 체험하는 인터렉티브 전시도 마련된다.  2부 `섬유, 산업의 경계를 넘다`는 기술과 융합한 섬유가 어떻게 일상과 산업 전반에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가고 있는지를 조명한다. 카본 소재로 제작된 자전거와 양궁활, 아라미드 난연복과 안전모 등은 기능성과 안전을 동시에 추구하는 섬유의 힘을 보여준다.  3부 `섬유, 삶의 방향을 바꾸다`에서는 AI와 디지털 기술이 섬유와 만났을 때 어떻게 창작과 소비의 경계를 허물 수 있는지를 탐색한다. AI 기반 `디지털 룩북 생성 솔루션`을 통해 제작된 패션 화보와 박물관 소장품을 활용한 가상 패션쇼는 기술을 입는 시대의 도래를 보여준다. ■ 혁신을 디자인하다  이번 전시에서는 기술을 넘어서 지속 가능한 패션의 미래를 고민하는 디자이너들이 주목된다.  이승익(Rick Rhe)은 폴리젯 3D 프린팅 기법으로 가죽 위에 입체적 텍스처를 구현하며 패션의 새로운 가능성과 시각적 표현의 경계를 확장한다.  한나신(HANNAH SHIN)은 폐기 로봇의 부품과 재고 비즈를 활용해 FDM방식의 3D 프린팅 드레스를 디자인해 기술과 전통, 업사이클링을 결합한 새로운 패션을 제시한다.  BESFXXK(비스퍽)은 AI 디자인 플랫폼 `AiDA`를 통해 기술과 감성이 결합된 의상을 선보이며 동시대 패션의 새로운 조화를 탐색한다. ■ 10주년을 맞은 대구섬유박물관의 새로운 도전  그동안 대구섬유박물관은 패션관, 산업관, 미래관을 통해 근현대 섬유산업의 흐름과 변화를 소개해 왔다. 이번 특별전은 그 연장선에서 섬유의 기능적 진화는 물론 사회적·환경적 가치까지 함께 조명하며 새로운 10년을 향한 전환점이 될 예정이다.  전시 기간 동안 대구섬유박물관은 섬유·패션 도시 대구의 정체성을 살린 다양한 연계 프로그램도 함께 운영할 예정이다. 강연, 토크, 창의 교육 프로그램 등을 통해 다양한 세대가 섬유의 미래를 함께 체험하고 소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강두완 기자backery@naver.com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