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유지에 무허가 건축물이 존재함에도 행정처분은 고사하고 묵인해 시민들의 원성을 받고 있는 경주시 월성동행정복지센터가 이번에는 시공사 업체 밀어주기 정황이 발견돼 물의를 빚고 있다.
본지가 정보공개를 통해 입수한 지난 2023년, 2024년 월성동행정복지센터 수의계약건을 살펴본 결과 여러 업체들 가운데 특정 A업체에 공사를 집중 계약한 정황이 발견됐다. 2023년도는 49개 업체가 월성동행정복지센터와 수의계약을 했으며 총 11억9303만9000원의 공사대금 가운데 A업체가 공사계약 20건에 1억4098만2000원을 수주해 전체 공사대금 중 13.4%를 차지했다.
지난해에는 46개 업체가 월성동행정복지센터와 수의계약을 했으며 총 9억7582만4000원의 공사대금 중 A업체가 공사계약 12건 1억1058만원을 수주해 전체 공사대금 중 12.7%를 차지했다. 수의계약한 타 업체는 1건에서 4건을 계약한 반면 A업체만 12건에서 20건을 계약해 월등한 차이를 보였다.
이에 대해 이준호 동장은 "해당 업체는 월성동에 많은 기여를 해 왔고 업체 대표는 월성동 통장도 역임하고 있다. 다른 업체들보다 월성동 지리나 마을주민의 상황을 잘 알고 있다"고 말하며 "특혜가 아닌 주민들의 2차피해를 대비해 가장 빠르고 우선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업체라서 다른 곳보다 많았다"라고 반박했다.
그러나 지역 건설업체들은 "업체들이 다 해당 읍면동에 주소지를 두고 있지만 월성동같이 지역 업체라고 특별이 일을 많이 주지 않는다"고 밝히고 "월성동의 계약 과정 전반에 대한 철저한 감사와 개선이 필요하다. 지속적인 문제 제기와 감시를 통해 투명한 행정이 이뤄지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경주시 월성동행정복지센터는 경주시 남산4길 11-33번지 내 시유지 불법건축물과 관련해 아무런 행정 조취를 하지 않고 있어 경주시의 행정이 형평성을 잃었다는 비난을 받고 있다.
손동현 기자dongh0311@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