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도군은 올해 군정 3대 목표로 △8000억원 예산시대 개막 △40만 생활인구 달성 △더 풍요롭고 잘사는 청도 건설을 제시해 군정을 추진하고 있다.  행정안전부 발표에 따르면 청도군 생활인구는 주민등록 인구의 7.8배를 초과하는 34만명으로 경북도 내 1위, 전국 7위를 기록하며 청도의 높은 발전 가능성을 증명했다.  오는 2026년부터 지자체에 배부하는 보통교부세 산정 기준에도 생활인구를 반영하는 내용을 입법예고해 생활인구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청도군은 이에 맞춰 정주 및 체류인구를 포함한 생활인구 늘리기 정책을 발 빠르게 추진하고 있다.  또한 2025년 행정안전부의 지방소멸대응기금 투자계획 평가에서 최고 등급인 `우수`를 받아 역대 최대 규모인 160억원의 기금을 확보했다.  이는 경북도에서 지원한 광역기금을 포함해 지난 2022년부터 올해까지 총 472억3800만원의 지방소멸대응기금을 확보해 청도군이 지방소멸 위기 극복을 위해 심혈을 기울여 전략적인 계획을 수립한 결과이다.  군의 중점사업으로는 청도의 중심 생활권에 주거, 문화, 일자리 등 생활 인프라와 복지서비스가 결합된 복합생활거점조성과 대중교통 개선사업을 연결한 `모이다, 콤팩트시티 청도` 사업으로 향후 군은 112억7000만원의 기금을 투입해 도시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을 계획이다.  또한 관계인구를 늘리기 위한 정책으로 외국인 근로자의 장기 체류 및 정착 유도를 위한 농업인력 숙소 건립사업인 △글로벌 드림스테이, 외국인 생활인구 유입 및 우수 외국인 인재의 지역 정착을 유도하는 △외국인 지역사회 교류·정착 프로그램 등에도 지방소멸대응기금을 활용해 지역 내 인구유출 방지와 외부 인구유입에 전력을 다하고 있다.  이 외에도 빈집을 리모델링해 임대료 월 1만원의 주택을 공급하는 `청도 만(萬)원주택사업`에 5억원의 지방소멸대응기금을 투입해 정주인구 확보를 위한 혁신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김하수 군수는 "청도군은 지방소멸대응기금 사업을 통해 `생활인구의 관계인구화, 관계인구의 정주인구화`라는 목표를 설정해 생활인구 40만명을 달성은 물론 더 많은 사람들이 청도에 관심을 가지고 관계를 맺도록 유도함으로써 지방소멸 청도를 미래 성장 도시 청도로 만들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김병열 기자artmong0@naver.com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