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한 해 동안 11만8370명이 내비게이션 목적지에 `황리단길`을 검색한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한국관광공사 한국관광 데이터랩에 따르면 같은 기간 △석굴암 9만8351건 △동궁과 월지 1만7899건 △월정교 1만2220건 등 경주의 주요 관광지 검색량보다 많은 수치다.  방문객들의 체류시간도 황리단길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황리단길 체류시간은 평균 1시간 33분으로 월정교 1시간 18분, 동궁과 월지 48분, 석굴암 40분, 첨성대 27분보다 높았다.  또 황리단길 방문객 중 경기 14.6%, 서울 11.9%, 인천 2.6% 등 수도권 거주자가 30%에 육박하면서 황리단길 방문객의 3분의 1은 1박 이상 숙박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황리단길이 경주의 관광산업을 이끈다고 해도 지나치지 않은 셈이다.  이 같은 인기에는 경주시의 행정적·재정적 뒷받침이 큰 역할을 했다. 경주시는 `문화재보호구역`에 묶여 개발은커녕 수리조차 어려웠던 황리단길 한옥의 신축·증축·개축 절차를 간소화하면서 활성화를 도왔다.  또 지난 2018년 당시 인도조차도 없어 차량과 방문객이 뒤엉켜 극심한 혼잡을 빚었던 황리단길에 일방통행을 도입해 `보행친화거리`로 재탄생시켰다.  이를 위해 시는 주민·상인 대상 공청회를 여는 한편 경북지방경찰청과의 지속적 협의로 합의를 끌어내면서 차도와 보행로가 명확히 구분된 현재의 황리단길로 발전했다.  또한 거미줄처럼 전선이 얽혀 방문객들의 눈살을 찌푸리게 했던 과거의 황리단길을 한전과 마라톤 협의 끝에 `전선지중화 사업`으로 지금의 아름다운 황리단길이 탄생하게 됐다.  특히 대릉원 입장료 전면 폐지로 황리단길 방문객들이 대릉원을 자유롭게 드나들 수 있게 됐으며 이 또한 경주시가 국가유산청과 장기간에 걸쳐 합의를 도출한 덕분에 가능해졌다.  쇠퇴하는 여타 지자체 특화거리와 비교해 현재까지도 황리단길이 사랑받고 있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골목길 경제학자`라는 별칭으로 더 유명한 모종린 연세대 국제학대학원 교수도 같은 생각이다.  모종린 교수는 "오늘의 황리단길이 있기까지 상인, 시청, 예술가, 주민 등 많은 사람이 기여했지만 황리단길의 원천 경쟁력은 건축 환경과 보행 환경이라는 것을 기억해야 한다"며 "대릉원의 고분들이 감싼 골목길과 한옥은 황리단길이 가진 복제 불가능한 콘텐츠"라고 강조했다.  주낙영 시장은 "황리단길은 전국에 몇 안 되는 상인과 주민 주도로 조성된 특화거리지만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행정적·재정적 뒷받침이 필요하다"며 "경주시는 상인과 주민, 방문객 입장에서 황리단길 활성화를 위해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라고 밝혔다.  박삼진 기자wba112@daum.net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