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감온도 35도를 넘나드는 폭염이 우리 민족 고유의 명절인 추석에도 이어지면서 인명과 재산 피해가 잇따르고 있다. 해마다 기록적인 무더위에 온열질환자 수도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020년부터 2023년까지 3년 새 환자 수가 무려 2.6배 폭증했는데 올해는 이미 8월까지의 환자 수가 지난 한 해 기록을 넘어서 증가율은 더욱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지난 12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장종태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질병관리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연도별 온열질환 환자 및 사망자 수`에 따르면 2020년 1078명이었던 온열질환자 수는 2021년 1376명→2022년 1564명→2023년 2818명으로 3년 새 2.6배 증가했다.  사망자 수는 같은 기간 9명→20명→9명→32명으로 증감을 반복했다. 지난 4년간 발생한 온열질환자를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50대가 22.2%로 가장 많았고 60대가 18.4%, 40대가 14.8%로 뒤를 이어 중장년층 환자 수가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사망자의 경우 80대 이상이 31.4%, 70대가 20%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지역별는 경기가 21.7%, 경남과 경북이 9.4%, 전남이 8.4% 순이었다. 지난해 여름에는 경기도에서만 무려 683명(24.2%)의 온열질환자가 발생하기도 했다.  장소별로 살펴보면 실외작업장(35.5%), 논·밭(14.6%)에서 전체 환자의 절반이 발생했다. 사망자는 논·밭(32.9%)과 길가(14.3%)에서 많이 발생했다.  장종태 의원은 "온열질환자 3명 중 1명이 실외작업장에서 발생했다는 것은 근무 환경 개선과 휴식시간 보장과 같은 노동자 보호 대책이 마련될 필요성이 있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문제는 온열질환을 유발하는 무더위가 날이 갈수록 극심해진다는 점이다. 올해도 더위가 가시고 선선한 가을이 시작된다는 처서가 지난 지 3주가 넘었지만 전국 곳곳이 폭염으로 몸살을 앓고 있다. 지난 10일엔 2008년 폭염특보제가 도입된 이후 사상 처음으로 9월에 폭염경보가 발령되기도 했다.  꺾이지 않는 무더위에 온열질환자도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올해 발생한 온열질환자 수는 11일 기준 3531명(사망자 32명)으로 이미 지난해 전체 발생 환자 수인 2818명을 훌쩍 뛰어넘었다. 지난 10일엔 전남 신안에서 사상 처음 9월에 온열질환으로 사망한 사례가 발생하기도 했다.  일상에서 맞닥뜨리는 폭염 피해와 전문가들의 예측이 가리키는 방향은 결국 일회성 대책보다는 국가 차원의 컨트롤타워가 절실해졌다는 점이다. 상시 조직을 통한 종합적인 폭염 관리시스템이 도입돼야 할 때다.  대통령실도 최근 기후위기 관련 컨트롤타워에 대해서는 "고민 중"이라고 밝혀 그 필요성 자체는 인정하는 분위기다.  폭염이 국가경제 전반에 걸쳐 심각한 영향을 주는 사안임을 감안하면 이는 당연하다. 폭염과 관련한 전력 수급이나 물가 대책 등 세부적인 항목에서는 각 부처가 다양한 대책을 마련하고 있지만 이미 폭염 문제는 한두 부처만의 대응으로 감당할 수 있는 수준을 넘었다.  앞으로 올해 여름철보다 기온이 낮은 여름을 맞을 확률은 `0%`라는 말이 상식으로 통용되고 있다. 컨트롤타워를 통한 한발 앞선 국가 차원의 폭염 대비가 앞으로 엄청난 피해를 예방하는 결정적인 한 수가 될 수 있음을 깨달아야 한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