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지역 농민단체들이 산지 쌀값 안정을 위한 대책 마련을 촉구하고 나섰다.
경주시 농민단체협의회(한농연, 한여농, 쌀전업농, 농촌지도자회, 생활개선회, 한우협회)는 12일 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정부를 규탄하며 대책마련을 촉구했다.
경주시 농민단체협의회 회원 100여명은 이날 기자회견을 통해 2023년산 쌀 민간 재고 물량 15만t을 신속히 격리하고 쌀 적정생산을 위해 전략작물직불제 예산을 대폭 확충하라고 주장했다. 또한 농정 효율성 제고를 위해 농산물 수급통계 전문성 강화하라고 주문했다.
이들은 "정부는 농심(農心)을 받들어 조속히 특단의 대책을 마련해주기 바란다"라며 "만약 현장의 목소리를 무시할 시 한농연 14만 회원은 쌀값 사수를 위해 대대적인 투쟁에 나설 것"이라고 엄중히 경고했다.
한우협회는 "한우산업은 연간 4000호의 농가가 폐업할 정도로 매우 어렵다"라며 "한우농가는 지난 2022년부터 3년 동안 적자를 보고 있으며 올해 5월 기준 1두당 230만원의 손실에 처해 있어 한우농가가 소를 키워서 남는 건 소똥밖에 없다"고 하소연했다.
이들은 "FTA 추진 속에 대책이라던 세이프가드는 발동조차 되지 않고 농어촌상생협력기금은 약속조차 이행되지 않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최소한의 원가를 반영한 판매가가 형성되도록 정책적인 지원과 최저생산비보장책 마련 △소비자가 피부로 와닿는 판매 확대를 위한 예산 대폭 지원 △수입육 대체 한우 판매 차액지원 △도축 물량 일시적 시장격리를 위한 긴급 비축 및 긴급 군납 물량 확대 △사룟값 차액보전 및 사료가격 인하 △농가사료구매자금 상환기간 연장 및 지원 확대 △농협 도축수수료 인상 유예 등 현재의 한웃값 폭락에 대한 농가 경영부담을 완화하기 위한 특단의 대책을 마련하라고 주장했다.
박삼진 기자wba112@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