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예 부흥 시대를 이끌었던 송(宋)대 서구 문화 유입은 산수화에 문인의 고아함과 유유자적한 서정성이 어우러지면서 감상자에게 그림 속 산수에 발길 따라 노니는 즐거움을 가져왔다.  "변화는 새물결, 문화를 안내했다".  서구 식물 유입의 다양한 변화가 환경을 풍요롭게 하면서 사군자 매(梅), 난(蘭), 국(菊), 죽(竹)은 문인들의 사의적(寫意的) 성향이 다양한 식물을 화폭에 옮겼다.  동양 철학사는 중국 미술사의 흐름과 근원(根原)은 자연을 빌어 학문(學文)으로 흡수됐다.  식물의 관심과 가치는 명대 화조화, 화훼, 장권(長卷)에 창의적 사의성으로 두루마리에 나열됐다. 화조화는 사군자와 함께 "미술사 영역을 넓히게 된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