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경북도는 저출생 및 지역소멸 위기를 극복하고 청년 지방 정주 시대 실현을 위해 지난해까지 인력양성협약을 체결한 17개 시·군, 29개 대학, 30개 고교, 95개 기업과 함께 `K-U시티 프로젝트`를 본격적으로 실행한다.
도는 올해를 `K-U시티 실행의 해`로 정하고 지방 정주 시대 실현을 위해 사업추진에 속도를 낸다. 지난해까지 협약 체결을 완료한 17개 시·군의 U시티를 구체화·실행시켜 나가며 남은 5개 시·군도 U시티 컨설팅을 완료한다.
올해 경북도와 17개 시·군에서는 K-U시티 프로젝트 추진을 위해 지방소멸대응기금 등 총사업비 291억원을 투입한다. 세부 사업은 지역산업 기반 인재 양성 83억원, 연구지원센터 건립 60억원, 정주 환경 조성 140억원, 문화콘텐츠 활성화 사업 7억5000만원을 지원한다.
먼저 지역산업기반 인력 양성 및 혁신기술개발로 17개 시·군에 83억원이 투입된다.
K-U시티 전략산업과 연계해 도내 대학과 함께 기업수요 맞춤형 인재육성 교육과 연구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지역 전략학과 인재 육성 장학금 지원, 대학-기업 협력 연구 및 사업화 등 혁신 기술개발 연구 지원을 위한 사업을 추진한다.
둘째 1시·군-1대학-1특성화(기업)를 통한 지역전략산업 양성으로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위해 연구지원센터 조성을 추진한다. 지역산업 기반 연구지원센터 조성은 2024~2026년간 총사업비 400억원(개소당 80억원) 규모로 문경시, 청송군, 영덕군, 봉화군, 울릉군에서 추진한다.
셋째 K-U시티 참여 기업 종사자 및 학생들의 정주환경 조성을 위해 셰어 하우스 및 청년 레지던스, 임대주택 등을 조성한다. △경주시는 다가구 주택을 새롭게 고쳐 공유 복합문화공간과 주거용 숙소를 △상주시는 80호 규모의 주거 공간, 커뮤니티센터, 청년 취업 지원센터 등을 △봉화군은 조립식 주택단지 40개 동을 조성하는 등 총 7개 시·군에 오는 2025년까지 280억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마지막으로 K-유머, K-POP, K-스토리 등 K-U시티 문화콘텐츠 자원을 활용, 해당 시·군뿐만 아니라 주변 시·군의 기업 근로자와 대학생까지 공유하도록 K-U시티 문화콘텐츠 활성화를 위해 7억5000만원을 투입한다.
웹소설, 웹툰, 드라마 등 스토리 산업 연계 K-스토리 여름 페스티벌 개최 및 코미디 콩트 쇼, K-POP 체험 아카데미, 요가 힐링 프로그램 운영 등 청년문화 콘텐츠를 지원한다.
특히 경북도는 지방시대 선도모델 확산을 위해 항공 MRO와 항공 물류 등 항공산업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해 신규로 K-U시티 플러스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세부 사업계획은 의성 공항신도시와 연계해 항공 MRO와 항공 물류 관련 기업 맞춤형 인력양성을 위한 공동캠퍼스 조성과 명품 주거단지 조성, 교육 및 문화공간 조성 등 항공산업 U시티를 추진할 방침이다.
한편 `경북도 K-U시티 프로젝트`는 대학-기업-지방정부가 상생협력으로 공동 기획해 교육, 취업, 주거, 결혼 등을 통해 청년 지방 정주도시를 만드는 프로젝트로 지난해 `2023년도 지방자치단체 인구감소 대응 우수사례 경진대회`에서 전국 최우수기관에 선정돼 3억5000만원의 시상금을 받았다.
이철우 도지사는 "경북도가 K-U시티 프로젝트를 적극 추진해 청년이 지역에서 배우고 일하고 결혼해 누리고 살 수 있는 청년 지방정주시대를 실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박외영 기자p04140@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