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도군의회 이승민 의원이 "조형물 이제 그만, 민생사업 집중하라"는 구호를 내걸고 이어온 1인 시위가 점차 지역사회에서 공감을 얻고 있다. 단순한 사업 반대가 아닌 군정의 우선순위를 주민 생활 중심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주장에 힘이 실리고 있다는 평가다.이 의원은 지난 6월 행정사무감사 직후부터 청도군 중심가에서 같은 문구가 적힌 피켓을 들고 시위를 이어오고 있다. 그는 "수십억 원이 투입되는 조형물 설치보다 군민 생활 개선과 지역경제 활성화가 더 시급하다"며 군정 방향 전환을 촉구했다.앞서 이 의원은 의회 5분자유발언과 행정 사무감사에서, 조형물 사업의 예산집행 타당성과 투명성, 환경법 위반 업체와의 반복되는 수의계약을 집중 질의하며 주목을 받았다. 이 과정은 김태이 의원이 집행부 특정업체 몰아주기 행태를 공개 지적한 시점과 맞물렸다. 마침 청도군수 취임 3주년 기념으로 열린 `반부패 청렴실천 결의대회에서 "우리는 청렴합니다" 라는 군정 메시지와 대비되면서 묘한 대조를 이뤘다.60대 상인은 "처음엔 시위가 상가 이미지에 부정적일까 우려했지만, 내용을 보고는 공감하게 됐다"며 "손님들 중에도 관심을 보이는 이들이 많아졌다"고 말했다. 40대 주민은 "보여주기식 행정보다 묵묵히 목소리를 내는 정치인을 보는 것은 드물다"며 "진심이 느껴진다"고 전했다.일부 주민들은 실효성에 의문을 제기했다. 청도군 내 한 자영업자는 "조형물 사업도 나름의 필요성이 있을 수 있다"며 "시위만으로 행정의 방향을 바꾸기는 쉽지 않다, 의회 안에서 실질적 대안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대학생 C씨는 "청도군 같은 작은 지역일수록 예산 사용이 더 신중해야 한다"며 "민생을 위한 요구라면 젊은 세대도 지지할 수 있다"고 말했다.지역 사회에서는 이번 시위가 행정의 우선순위를 재검토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는 시각도 나온다. 한 사회단체 관계자는 "지방의회 본연의 기능은 감시와 견제"라며 "이번 시위가 행정과 의회, 주민이 함께 군정 방향을 점검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이 의원은 "반대를 위한 반대가 아니라 군민이 체감할 수 있는 변화를 원한다"며 "조형물을 세우는것 보다 군민의 내일을 세우는 것이 제 신념"이라고 잘라 말했다.
김병열 기자artmong0@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