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행부 감시와 견제는 의회의 본질적 책무다".    누구나 알고 있는 이 원칙이 청도군의회에서는 흔들렸다.  지난 25일 열린 임시회에서 일부 의원들은 청도군이 추진한 특정 사업 4건에 대해 감사원 공익감사를 청구하자고 제안했다. 농공단지 입주 조형물 업체의 직접 생산 요건 위반 의혹, 행정처분 중인 폐기물 업체와의 계약 지속, 내부 정보 유출 논란이 불거진 오수처리시설 교체 사업 그리고 경관조명 사업의 예산 과다 편성 의혹 등 4건 모두 예산 집행 및 행정 절차의 투명성과 직결된 사안이다. 하지만 안건은 부결됐고 공익감사 청구를 제안한 의원들은 주민감사 청구를 추진하고 있다.  반대 논리는 "감사를 받으면 행정력이 낭비되고 공무원의 사기가 저하될 수 있다"는 것이었다.  그러나 주민의 세금으로 진행되는 사업에서 의혹이 제기됐다면 그 의혹을 털어내는 것이야말로 공무원의 사기를 지키는 길이 아닌가.  감사는 두려워할 이유가 없다. 오히려 투명성을 확인하고 떳떳함을 증명하는 과정이기 때문이다.  회의장에서는 거친 설전도 오갔다. 한 의원은 "국민이 의회에 할 말이 있으면 진정서를 올릴 수 있다"며 감사를 반대했고 이에 다른 의원은 "`내 사업을 하는데 왜 의원이 방해하느냐`는 말까지 나오는데 그게 맞는 거냐"며 강하게 맞받았다. 의회 본분이 무엇인지 되묻는 장면이었다.  의회의 감사 전문성이 부족하다는 지적은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 1년에 한 번 있는 행정사무감사만으로 모든 의혹을 해소하기란 애초에 어려운 구조다.  그렇다면 일부 의원들이 제기한 "공익감사 청구"는 어쩌면 의혹을 털어내고 행정의 신뢰를 회복할 마지막 카드였을지 모른다. 공무원의 사기보다 주민의 신뢰가 먼저다.  최근 의회는 이전보다 활발한 논의와 견제를 시도하며 변화의 움직임을 보여주고 있다. 분명 발전된 모습이다. 그러나 이번 결정에서 남는 아쉬움은 크다. 투명성을 증명할 기회를 스스로 거부한 의회, 그 선택이 과연 군민을 위한 것이었는지는 여전히 의문이다.  청도군의회가 스스로에게 물어야 할 질문은 여전히 남는다.  "우리는 누구를 지키고 있는가. 군민인가, 아니면 행정인가".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