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가 `저출생 대책 공약`을 경쟁적으로 내놓으면서 정책의 실효성에 귀추가 주목된다.  국민의힘 한동훈 비상대책위원장은 18일 총선 1호 공약으로 저출생 관련 대책을 발표하고, 향후 관련 대책을 `패키지 형식`으로 제시하겠다고 밝혔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도 같은 날 `인구 위기 대응부` 신설 등 `저출생 종합대책`을 직접 발표했다. 여야가 총선을 앞두고 소멸 위기에 놓인 대한민국의 인구 감소에 대해 처음으로 정책 대결에 나선 점에 대해서 박수를 보낸다.    한 위원장의 경우 국민이 원하는 정책을 배송한다는 콘셉트로 붉은색 택배원 조끼를 입고 등장하며 퍼포먼스에도 공을 들였다. 양당 모두 육아휴직 급여를 인상하고 육아휴직을 더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약속했다.  다만 국민의힘은 직장과 육아를 병행할 수 있도록 기업을 지원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면, 민주당은 부부의 주거 및 양육비 지원책에 역점을 뒀다는 점이 특징이다.    우선 국민의힘은 남성의 육아 휴직 지원을 위한 대책으로 1개월 유급 아빠 출산휴가를 의무화했다. 저출생 대책을 총괄할 컨트롤타워로 부총리급 `인구부`를 신설한다고 밝혔다.    또 육아휴직 급여 상한선을 현행 150만원에서 210만원으로 인상하고, 중소기업의 육아휴직 대체인력 지원금은 80만원에서 160만원으로 두 배 올린다.  민주당의 경우 주거 정책으로 2자녀 출산 시 24평, 3자녀 출산 시 33평 분양전환 공공임대를 제공하겠다고 약속했다. 비용 때문에 아이를 낳지 않는 청년층을 위해 모든 신혼부부에게 10년 만기로 1억원 대출해주고, 출생 자녀 수에 따라 원리금을 차등 감면해 셋째를 낳으면 사실상 전액 감면해주는 정책은 파격적이라 평가가 나왔다.    이재명 대표는 정책 발표에 앞서 "아이를 왜 낳지 않을까 가장 큰 원인은 아마도 미래에 대한 희망이 줄어들거나 사라졌기 때문일 것이다. 미래 희망이 사라진 원인 중에서도 가장 큰 건 불평등 문제일 것"이라며 "특히 자산과 소득 불평등 문제가 심각하기 때문에 민주당은 결혼 출산 양육을 망라하는 획기적 정책 패키지를 준비했다"고 밝혔다.    저출생 등 국가 생존에 대해서는 여야가 따로 있을 수 없고, 한시가 급하다. 총선 전이라도 서로 일치하는 해법이 있다면, 함께 만나서 대화와 협상을 통해 즉각 입법화하고, 예산을 편성해 실행해야 한다. 선거용 `희망 고문`이 아니라, 국가 미래를 위한 진정성을 행동과 입법으로 증명하기를 바란다.    모처럼 여야 간 정책 대결을 통해 저출생 추세를 반전시키고, 한국 정치도 한 단계 도약시키기를 기대한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