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는 공항과 연계한 지역개발계획 수립과 효율적인 사업추진 전략 마련을 위해 12일 `경북도 항공정책자문회의`를 개최했다. 이날 공항 및 항공물류 등 12개 분야 전문가와 항공정책자문위원 등 40여명이 참석했다.    이남억 도 대구경북공항본부장은 `대구경북공항 건설과 공항신도시 조성계획`에 대한 브리핑을 통해 대구경북공항 추진 현황과 공항경제권 조성 및 항공물류산업 육성, 광역교통망 구축에 대한 경북도의 추진 성과와 향후 계획에 대해 설명했다.  이어진 주제 발표에서 이상호 영남대 교수는 "포도, 딸기를 비롯한 경북지역 과수 및 과채류 그리고 고부가가치 신선 농식품의 수출 확대를 통해 경북 항공물류산업의 획기적 발전이 가능하다"면서 "대구경북공항은 경북의 기반산업인 농업과 농식품 산업의 활성화에 새로운 모멘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강조했다.    또 문순배 한국공항공사 디지털트윈TF 팀장은 "울릉공항은 디지털·친환경 신기술이 적용된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는 공항으로 건설단계부터 민·관 협력을 통해 경쟁력 갖추고 이를 통해 발생하는 경제효과들이 이용객과 지역민들에게 돌아갈 수 있는 상생공항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열린 토론에서는 공항 건설뿐만 아니라 공항신도시 및 물류·산업단지 조성과 도로·철도, G-AAM(경북형 미래항공 모빌리티) 등 교통망 구축 사업의 신속하고 효율적인 추진 방안과 오는 2026년 울릉공항 개항에 따른 100만 관광객 시대에 대비한 지역 관광 활성화에 대한 다양한 논의가 이뤄졌다.  김학홍 도 행정부지사는 "대구경북공항이 지역경제의 신성장 거점이 될 수 있도록 화물터미널과 물류단지를 자유무역지역으로 지정하고 첨단 스마트 물류시스템을 구축해 글로벌 기업 유치에 집중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오는 2026년 울릉공항 개항에 맞춰 내국인 면세점 도입을 추진하고 MaaS 시스템을 구축해 울릉도를 국제 관광섬으로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박외영 기자p04140@naver.com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