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농어촌지역군수협의회(회장 김주수 의성군수, 이하 협의회)는 7일 서울 중구의 호텔코리아나에서 김창길 농어촌분과위원장 주재로 농산어촌소멸 대응을 위해 농어업·농어촌특별위원회(위원장 장태평, 이하 농어업위) 공동으로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  김창길 농어촌분과위원장이 좌장을 맡았으며 성주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의 주제발표와 구복규 화순군수, 김돈곤 청양군수의 사례발표로 발제가 진행되었다.  이어서 패널토론에서는 김주수 의성군수, 구인모 거창군수, 정해준 계명대 교수, 강정현 농지연 사무총장, 김기홍 농민신문 부장, 이명섭 지방시대위원회 국장, 이상만 농림축산식품부 농촌정책국장, 홍성진 국립농업과학원 부장이 토론에 참석했다.  주제발표에 나선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성주인 선임연구위원은 `농산어촌소멸 대응을 위한 농산어촌 재생 방향과 과제`를 주제로 "지속 가능한 농산어촌 재생을 위해서는 `삶·일·쉼` 세 가지 요소에 집중해야 한다"면서 "사람이 찾고 일자리가 풍부하며 살고 싶은 농산어촌으로 조성이 필요하다"는 내용으로 발표를 마쳤다.  첫 번째 사례를 발표한 구복규 화순군수는 `농촌지역 인구감소 대응방안`을 논의하면서 "화순군은 만원으로 청년·신혼부부 보금자리를 제공해 아주 큰 호응을 얻고 있으며 실제로 청년들이 화순군으로 유입되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두 번째 사례는 김돈곤 청양군수가 `의료복지와 먹거리복지로 지역소멸에 대비하다!`라는 주제로 발표했으며 "청양군은 의료복지를 위해 서남부권 응급의료체계를 구축하고 전문의사·간호사를 상시로 채용했다"라며 "먹거리복지 정책으로 공공지원체계와 민관 거버넌스를 구축해 먹거리 돌봄과 농가의 안정적 소득창출에 기여하고 있다"고 밝혔다.  장태평 농어업위 위원장은 "오늘날 인구감소, 경제적 어려움, 정주 여건의 부족 문제로 인해 농산어촌의 삶의 질이 저하되고 있다"라고 말하며 "미래를 위해서도 농산어촌소멸에 대한 진지하고도 치밀한 대응이 요구되는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협의회 회장인 김주수 의성군수는 "전국농어촌군수협의회는 농어업위와 함께 농산어촌의 미래를 위한 논의의 시작을 반기며 사람이 돌아오는 농산어촌 실현을 위해 협의회는 최선을 다할 것이다. 참석하신 여러분들의 적극적인 동참과 협력을 간곡히 부탁드린다"라고 말했다.  이날 정책토론회는 농산어촌의 이해관계자들과 농산어촌소멸의 개념을 확산시키고 농산어촌 재생방안, 농산어촌 지역 인구감소 대응방안 등을 논의하며 성황리에 개최됐다.  정성수 기자power5151@naver.com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