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발 요소 통관 지연 사태가 이어지고 있다.
이에 정부는 중국발 요소 국내 수급 안정을 위해 공공비축분을 늘리고 베트남 등으로부터의 대체 수입량을 확대하기로 했다.
정부는 지난 4일 이승렬 산업통상자원부 산업정책실장 주재로 `정부-업계 합동 요소 공급망 대응 회의`를 열고 이같이 논의했다고 밝혔다.
이는 최근 중국 해관총서(우리나라의 관세청)가 중국 기업들이 한국으로 보내는 요소 수입이 지연되고 있는 데 따른 조치다.
정부는 지연 사태가 장기화할 경우 국내 업체 피해는 물론 공급 불안도 초래할 수 있어 선제적인 대응에 들어갔다.
아직까지 중국 정부는 이와 관련한 공식적인 입장을 내놓지 않고 있다.
다만 정부는 지난 2021년 말 중국 정부가 요소 수출을 중단하면서 국내 차량용 `요소수 대란`을 겪은 경험에 비춰 만약의 상황에 대비, 선제적인 대응에 나서고 있다.
이날 회의에는 국무조정실, 기획재정부, 외교부, 환경부, 관세청, 조달청 등 관계 부처와 롯데정밀화학, 금성이엔씨 등 차량용 요수 수입·유통업체 7개 사, 소부장 공급망센터(KOTRA) 등이 참석했다. 이들은 차량용 요소 재고 현황, 중국 통관 조치 지연에 따른 우리 기업의 애로사항을 면밀히 점검했다. 또 베트남 등 대체 수입처를 통한 요소 확보 방안을 논의했다. 정부와 업계는 차량용 요소의 수급 안정화를 위해 신속히 대응해 나간다는 인식도 공유했다.
구체화한 주요 대응 방안을 보면 우선 정부는 공공비축(조달청)을 확대하고 업계는 대체 수입국가로부터 추가 물량을 확보해 나가기로 했다.
정부 및 업계는 동남아·중동 등으로 공급망 다변화를 적극 추진해 차량용 요소를 안정적으로 확보해 나간다는 목표다. 이를 위해 환경부는 KOTRA와 협력해 수입 대체품에 대한 신속 품질검사를 지원하고 관세청은 수입 요소에 대한 신속 통관을 지원하는 등 관련 조치를 시행하기로 했다.
중국 세관에서 검역이 완료된 물량이 국내에 차질 없이 도입될 수 있게 중국 정부와의 긴밀한 협의도 신속하게 진행한다.
정부는 한-중 FTA 공동위원회를 포함, 다양한 양국 간 협의 채널을 통해 우리 기업의 통관 애로 해결과 공급망 안정에 만전을 다한다는 계획이다.
정부는 또 국내 차량용 요소수 시장 상황을 면밀히 점검해 요소수 생산·유통을 안정적으로 관리하기로 했다.
필요시 시장 안정화를 위한 조치도 선제적으로 시행한다는 입장이다.
만약의 상황에 대비한 선제적인 대응을 밝힌 정부이지만 지난 2021년 말 준비 없이 맞닥뜨려야 했던 첫 `요소수 대란` 때와는 상황이 다른 만큼 크게 우려할 수준은 아니라는 게 공식 입장이다.
지난 한 차례 홍역을 치른 후 우리나라는 세계 각국과 공급망 다변화를 꾀했고 공급 불안에 따른 당장의 혼란을 막기 위한 사전 준비는 충분하다는 얘기다. 실제 정부가 밝힌 현재 민간 재고 및 정부 요소 비축분은 약 3개월 치다.
중국으로부터 수입이 당장 끊겨도 그동안 개척해 온 요소 수입 대체국을 통한 물량 확보가 어느 정도 가능하다는 판단이다.
그간 정부는 업계와 요소 공급망 위기 대응 시스템을 구축해 온 만큼 요소 수급에 차질이 없도록 관계기관과 함께 신속하고 철저한 대응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