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는 탄소중립 선제 대응, 순환 경제 활성화를 위해 4년간 490억원이 투입되는 `녹색융합클러스터(첨단 전자산업 자원순환 클러스터)` 조성사업에 경북도와 구미시, 김영식 국회의원실 등 관련기관의 유기적인 공조 체계 구축과 전방위적 노력으로 내년 정부예산안에 반영됐다고 밝혔다.
녹색융합클러스터는 녹색산업 및 녹색연관산업의 집적 및 융복합촉진을 지원하기 위한 집적단지 조성사업으로 신규 녹색융합클러스터 사업 대상지로 구미가 정부 예산안에 반영(조성계획 수립 4억원)됐다.
경북도는 한발 더 나아가 내년 상반기 내 녹색융합클러스터 조성계획을 수립하고 하반기 중 기본 및 실시설계를 착공하기 위해 2024년 예산안에 22억원으로 증액 편성될 수 있도록 국회에 적극 건의할 계획이다.
`첨단 전자산업 자원순환 클러스터`는 반도체산업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에서 실리콘을 추출·정제해 이차전지 음극소재 원료로 공급할 수 있는 산업기반을 구축하는 사업으로 환경부에서 총사업비 490억원을 투입해 구미국가4단지 일원에 조성할 계획이다.
구미는 △(기반)전국 최다, 내륙 최대 국가산업단지 5개 보유 △(산업)SK실트론, 매그나칩반도체, KEC 등 반도체 소재·부품 관련 123개 기업 보유 △(물류)통합신공항 예정지로부터 20분 거리에 있어 높은 수출 물류 경쟁력 확보 △(인력)입주기업을 위한 혁신기관(구미전자정보기술원 등) 보유 및 인력양성 인프라(금오공대, 구미전자공고) 구축으로 녹색융합클러스터 추진에 안성맞춤이다.
특히 지난 7월 20일 산업통상자원부에서 추진하는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 지정에 `구미 반도체`와 `포항 이차전지`가 지정돼 첨단 전자산업 자원순환 클러스터와 연계하면 반도체 생산→재활용→이차전지 소재 사용으로 반도체 생태계가 완성될 것으로 보고 있다.
김학홍 도 행정부지사는 "탄소중립을 위기가 아닌 새로운 도약의 기회로 활용해 지역경제 발전과 국정 성과를 단기간 내 도출해 낼 것"이라며 "차질 없는 사업추진으로 녹색융합클러스터 조성에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박외영 기자p04140@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