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와 안동시는 안동시 소재 비지정 불교문화재(이하 성보문화유산) 3건을 경북도 문화재로 지정했다.
이번에 지정된 문화재는 총 3건으로 경북도 유형문화재 `안동 대원사 소장 현왕도`, `안동 석탑사 아미타여래회도`와 경북도 문화재자료 `안동 석탑사 산신도`이다.
안동 대원사 소장 현왕도 등 3건의 성보문화유산은 불교회화의 화면 구성, 표현기법 등에서 예술미가 돋보이며 화면 하단에 작성된 화기(畵記)를 통해 그림이 제작된 시기와 더불어 당시 불화를 조성하던 화사 집단 활동 사항 연구에 사료적 가치를 확인할 수 있었다.
안동 대원사 소장 현왕도(安東 大圓寺 所藏 現王圖)는 지난 1830년에 제작된 작품으로 경상지역과 서울·경기지역 간 불화의 도상 공유와 전파를 확인하는 데 불교미술사적 의미가 크다. 또한 사불산화파의 형식과 차별성을 보이기 때문에 도상적 희소성 또한 높다. 손상이 있지만 작품의 불교미술사적 가치, 표현기법의 우수성이 높다고 판단돼 경북도 유형문화재 지정됐다.
안동 석탑사 아미타여래회도(安東 石塔寺 阿彌陀如來會圖)는 19세기 전반 경상도 북부지역을 중심으로 활동했던 수연이라는 화승의 작품으로 전체적으로 채색은 적색과 청색, 녹색 위주에 구름문 표현의 경우 고동색과 갈색, 녹색순으로 면을 메꾸듯 구사하면서 가장자리는 백색 바림으로 강조해 변화를 줬다.
19세기 아미타불도 가운데 가장 빠른 제작연대의 작품으로 제작자가 명확한 불화이기에 가치가 충분하다고 판단돼 경북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됐다.
안동 석탑사 산신도(安東 石塔寺 山神圖)는 그림 뒷면에 묵서가 있어 제작연대(1863년, 同治 2)가 분명할 뿐만 아니라 화면 구도나 먹 위주의 담채풍 설채법, 무심하고 투박한 듯한 필치, 호랑이를 제어하며 틀어쥔 고삐나 가슴이 드러나는 산신의 복식 등이 독특하다.
이 작품은 호랑이에 올라탄 기호산신도(騎虎山神圖)라는 드문 형식의 그림이라는 점 뿐만 아니라 19세기 중·후반기 경상지역의 산신도 도상과 신앙을 알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나 제작 시기 등을 고려해 문화재자료 지정됐다.
안동시 관계자는 "과거 불교는 마음을 담은 공양과 시주로 아름다운 불교미술을 조성했으며 현재는 미술사, 종교신앙, 민속, 서지학 등 분야에서 그 가치를 인정받아 문화재로 지정되고 있다. 안동시는 비지정 성보문화유산에 대해 지속적으로 발굴, 이를 문화재로 지정해 체계적인 보존 관리와 함께 문화재의 다양성 확보에 힘쓰겠다"라고 전했다.
오명수 기자oms7227@nat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