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대형 급식업체와 간담회를 갖는다. 일본의 오염수 방류 이후 수산물 소비 감소 우려가 커지자 소비 촉진을 확대하기 위해서다.
그동안 정부와 기업 간 간담회 이후 소줏값 동결, 라면값 인하 등의 결과로 봤을 때 이번 간담회 이후 단체급식의 수산물 메뉴 증가도 예상할 수 있다.
정부의 공식적인 요청에 업체들은 고심에 빠졌다.
수산물 안전성에 대한 소비자들의 우려가 커진 상황에서 무작정 수산물을 활용한 메뉴의 비중을 늘릴 수는 없어서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우리 바다 지키기 검증 TF` 위원장인 성일종 국민의힘 의원실과 해양수산부는 30일 단체급식 업체들을 불러 기업급식에 수산물 활용 확대하는 방안을 논의한다.
이날 행사에는 수협중앙회를 비롯해 삼성웰스토리와 아워홈, 현대그린푸드(453340), CJ프레시웨이(051500), 풀무원푸드머스 등 단체급식 업체들이 포함됐다.
해수부는 해당 기업 대표급 인사의 참석을 요청한 것으로 전해졌다.
정부의 움직임에 기업들은 난감한 상황이다. 수산물을 활용한 메뉴를 늘렸다가 소비자들의 반발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일각에서는 정부가 책임을 기업들에 전가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그러나 결국엔 기업들이 정부의 요청을 받아들일 수밖에 없을 것이란 전망이 지배적이다. 지난 7월 라면값 인하 당시에도 정부의 요청이 관철됐다.
이번 논의에 참여하는 기업 중 삼성웰스토리와 아워홈, 현대그린푸드, CJ프레시웨이는 국내 단체급식 시장에서 점유율 도합 70%를 차지하고 있다.
이들이 정부의 요청을 받아들이면 대부분 회사 구내식당 메뉴에 수산물 비중이 확대할 것으로 보인다. 이 때문에 수산물 소비 진작에 나섰다가 되려 소비자들의 불안감이 커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도 있다.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에 따른 수산물 소비 침체는 예견돼 왔다.
후쿠시마 원전 사고가 터진 지난 2011년과 일본 정부가 원전 오염수 유출을 시인한 2013년에도 국내 수산물 소비가 급감했다.
정부는 단체급식 업체들을 압박하는 것 외에도 여러 방안을 내놓고 있다.
정부와 여당은 어민 지원을 위해 2000억원 규모의 추가 예산을 마련하고 어민 유류비 지원 등도 검토에 나섰다. 앞서 중소벤처기업부와 해수부는 수산물 소비 촉진을 위해 노량진수산시장 1층 소매 구역과 2층 식당가를 `골목형 상점가`로 지정하고 온누리상품권을 사용할 수 있게 했다.
백화점과 대형마트 등은 수산물 소비 촉진에 나서는 한편 방사능 측정기를 도입하는 등 안전성 검사를 강화하고 있다.
정부도 수산물 소비 위축 우려가 커지자 여러 방안을 내놓고 있다.
정부와 여당은 어민 지원을 위해 2000억원 규모의 추가 예산을 마련하고 어민 유류비 지원 등도 검토하기로 했다.
한편 일본 환경성은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 오염수 방류 이후 인근 바닷물을 채취해 분석한 결과 방사성 물질인 삼중수소 농도가 검출 하한치를 밑돌았다고 했다.
최근 요미우리신문 등에 따르면 환경성은 지난 25일 오전 후쿠시마 제1 원전 해역 인근 40km 이내 11개 지점에서 바닷물을 채취해 삼중수소 농도를 측정, 전 지역에서 검출 하한치인 L당 7∼8베크렐(㏃)을 밑돌았다고 발표했다.
이 가운데 3개 지점에서는 세슘137 등의 방사성 물질 농도도 조사했지만 모두 검출 하한치를 밑돌았다고 했다.
그러나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에 따른 수산물 소비 침체는 예견된 일이다.
우리 어민들과 수산업 종사자들의 피해는 누가 책임질 것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