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선8기 출범 1년을 맞아 홍준표 시장은 "1년 전 압도적 지지를 보내주신 시민들께 약속드린 대로 `자유와 활력이 넘치는 파워풀 대구`를 건설하고 한반도 3대 도시의 영광을 되찾기 위해 대구굴기로 혼신을 다해 오직 250만 대구시민만 바라보고 대구 미래 50년만을 생각하며 거침없이 나아가겠다"고 각오를 다졌다.
이어 홍 시장은 "대구는 조선시대부터 일제강점기까지 서울, 평양과 함께 한반도 3대 도시였으며 해방 이후에도 국가 지도자를 4명이나 배출한 명실상부 대한민국의 중심이었지만 옛 명성을 잃어버린 채 30년째 쇠락한 도시로 전락해 버렸다"며 "쇠락은 30년 넘게 이어져 1인당 GRDP는 전국 최하위 수준을 벗어나지 못했다"고 민선8기 출범 당시 암담했던 대구의 현실을 떠올렸다.
하지만 이를 반증하듯 지난 1년간 대구의 경제성장률은 3.8%로 전국 평균의 0.9%보다 4배나 높고 고용률 등 주요 경제지표에서도 역대 최고치를 기록, 경제부흥의 신호탄을 쏘아 올렸으며 5대 미래 신산업으로의 산업구조 대개편과 함께 기업에 대한 보다 큰 자유의 가치가 시장경제를 선도하고 있음을 증명해 내고 있다.
또한 오랜 관행과 타성에 젖어 현재에만 안주하고 미래를 생각지 않는 기득권 카르텔이 그간 독점해 온 불합리한 모든 사항을 철저하게 깨트려 쇠락의 또 다른 원인인 폐쇄성을 극복하는데 총력을 기울였다.
유달리 지난 1년간 `최초`가 많은 대구發 대혁신은 전국으로 퍼져나가 대한민국 혁신의 대표 롤 모델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전국 최초 `어르신 무임교통 통합지원` 단계별 시행은 30년째 변함없는 70세 이상 노인복지에 대한 근원적 고민과 함께 지자체 재량권 확보로 이어졌으며 `대형마트 의무휴업일 평일 전환`은 실효성 없는 기업의 규제를 과감히 깨트린 민생 혁신 대표 사례가 됐다.
전국 최초 강도 높은 `공공기관 통폐합`, `알 박기 인사` 근절, 공공기관 `임원 연봉 상한제와 퇴직금 미지급 제도`는 방만한 공공기관 운영에 경종을 울렸으며 대구 최초 `채무 제로 예산 편성` 등 채무감축과 고강도 재정혁신은 시민의 세금을 한 푼이라도 아껴야 한다는 원칙을 철저히 지켰다.
특히 홍 시장은 `자유와 활력이 넘치는 파워풀 대구`라는 큰 틀 아래 `미래번영 대구`, `혁신·행복 대구`, `글로벌 대구` 3가지 목표를 기치에 걸고 1년간 쉼 없이 달려왔다.
첫째, 대구 50년 미래 먹거리 발굴을 통한 `미래번영 대구`. 둘째, 혁신과 일하는 봉사하는 시정으로 시민행복 구현 `혁신·행복 대구`. 셋째, 세계와 경쟁하는 대구 도약을 위한 열린도시 `글로벌 대구`에 앞장서 왔다.
홍 시장은 "대한민국 1등이 이제 세계 1등이 되는 시대가 됐으며 대구의 많은 청년과 기업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춰 전 세계로 뻗어 나가는 글로벌 열린 도시를 만들어 가겠다"며 대구공항이 빠져나가는 공항 후적지는 두바이와 싱가포르 마리나베이의 장점만을 흡수해 금호강 물길을 돌린 수변공간 조성과 함께 초대형 랜드마크 빌딩을 건설하고 신공항 특별법에 탄력을 받아 주거 중심 공간 한계를 넘어서 관광·상업·첨단 산업 중심의 24시간 잠들지 않는 `NEW K-2, 글로벌 신성장 도시`로 비상을 계획하고 있다.
한편 대구시는 지난 1년간의 성과에 만족하지 않고 정책 중 미진하거나 세밀하게 다듬어야 할 사항은 보완해 연말까지 미래 50년 기본 틀을 마련하는 데 고삐를 쥔다.
끝으로 홍준표 시장은 "리더는 올바른 방향을 잡는 것이 중요하고 모든 책임은 리더가 진다. 쇠락한 대구 재건과 파워풀 대구 미래 50년 번영을 향한 담대한 도전과 혁신의 `Change Daegu 1년`, 올바른 방향을 향해 힘차게 나아가고 있다"고 밝히며 250만 시민들이 더 멀리, 더 크게 바라보고, 앞으로 대구 정책에 대한 신뢰를 당부했다.
장종찬 기자gst3000@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