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는 15일 인구감소 대응 방향 설정과 지방소멸대응기금의 효율적인 활용 전략 마련을 위해 시군 인구관련 업무담당과장 등 50여명이 참석하는 영상회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날 회의는 지방소멸대응기금 시군별 투자계획 작성 방향 및 추진상황을 점검하고 정보공유, 대응방안 등에 대해 집중 논의하는 자리가 됐다.  행정안전부는 인구감소로 인한 지방소멸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도입한 지방소멸대응기금의 본격적인 운영을 위해 지난 9일 `지방소멸대응기금 배분 등에 관한 기준`을 제정해 고시했다.  지방소멸대응기금은 10년간 매년 정부출연금 1조원을 재원으로 광역자치단체에 25%, 기초자치단체에 75%의 재원을 배분하고 기초지원계정의 95%는 인구감소지역에 5%는 관심지역에 지원한다.  도는 정액으로 2022년~23년 광역분 848억원을 배분 받고 시군은 인구감소지역인 16곳에 최대 280억원, 관심지역으로 지정된 2개 지역에 최대 70억원이 배분된다.  올해는 도입 첫 해로 2022년과 2023년 회계연도 사업에 대해 투자계획을 동시에 수립해 5월까지 행정안정부 심의위원회에 제출하면 이에 대한 평가 및 자문 등을 거쳐 8월경 배분금액이 확정될 예정이다.  18개 시군은 결과에 따라 차등 배분을 받아 지역별 특화된 지방소멸대응 전략과 투자계획을 수립할 방침이다.  김호섭 도 아이여성행복국장은 "이번 기금은 시군별 지역 특성에 기반한 맞춤형 대응전략을 수립하고 추진과제를 구체화해야 한다"며 "앞으로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를 활용해 체계적인 컨설팅으로 시군 투자계획 수립에 적극 협력 하겠다"고 밝혔다. 장영우 기자ycyw57@naver.com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