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가 존폐위기에 놓인 경북지역 지방대 7곳에 638억원을 지원하기로 했다.
도는 6일 오후 경북도청에서 `경북형 대학발전 전략방안 간담회`를 열고 이같이 결정했다.
이 자리에는 지난달 17일 교육부의 기본역량진단 평가에서 탈락한 김천대(김천), 대신대(경산), 동양대(영주), 위덕대(경주), 경북과학대(칠곡), 성운대(영천), 호산대(경산) 등 대학총장 7명과 대학이 위치한 기초단체장 6명 등이 참석했다.
경북도는 이 대학에 다니는 학생 가운데 국가장학금을 받지 못하는 학생들에게 시군 장학금을 주기 위해 오는 2025년까지 500억원의 장학기금을 마련하기로 했다.
또 지방대학의 생존전략인 특성화를 위해 내년까지 교육과 창업인프라에 55억원을 투자하고 대학이 지역의 생활·문화·교육의 중심이 되도록 캠퍼스의 혁신환경을 조성하는데도 오는 2024년까지 83억원을 들일 계획이다.
경북도관계자는 "존폐위기에 놓인 대학이 취업에 유리한 학과를 신설하도록 지원을 해주고 또 지방자치단체가 재정지원을 하고 대학 내부 빈 강의실 등을 지역주민들이 활용할수 있도록 하는 등의 내용이 포함돼있다"고 설명했다.
이날 간담회에서는 중앙정부가 지방대학을 바라보는 틀을 바꿔야 한다는 목소리와 함께 지방대 육성정책을 수립하는 과정에서 지방정부가 참여할수 있도록 제도를 개선하고 대통령 직속의 지방대학육성위원회 설립 등의 건의가 쏟아졌다.
간담회에 참석한 대학총장들은 "교육부의 진단평가 탈락발표로 수시모집을 앞두고 신입생 모집에 적지않은 타격을 받는다. 기본역량 진단평가에서 탈락해도 일반재정지원사업은 제한을 받지만 국가장학금, 학자금 대출 등은 아무런 제한없이 지원을 받을 수 있다"고 밝혔다.
이철우 도지사는 "지방대학 위기의 본질은 수도권 중심시스템에 있다. 정원감축 등 구조조정은 수도권 대학부터 진행하고 지방대에는 지원사업을 펼쳐야한다"고 말했다.
장영우 기자ycyw57@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