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는 매립가스(LFG)를 고부가가치 원료인 메탄올로 전환하는 실증연구를 지난 6월 성공적으로 완료하고 곧이어 세계최초로 플라즈마를 활용한 LFG 수소전환 실증연구에 참여한다고 밝혔다.  이는 중소기업벤처부에서 주관하는 `그린벤처프로그램사업화&중소기업기술혁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대구시와 방천리 위생매립장 LFG 메탄올 전환 실증연구를 추진해오던 인투코어테크놀로지㈜가 참여기관으로 선정됐다.  수소는 온실가스와 미세먼지를 배출하는 탄소와 달리 CO₂ 배출이 전혀 없고 부산물이 깨끗한 물뿐인 친환경에너지로 정부는 오는 2040년까지 43조원의 부가가치와, 42만개의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하는 혁신성장의 원동력이 될 수 있도록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을 수립해 추진하고 있다.  대구시는 `LFG 기반 고순도 수소정제 시스템` 개발 실증연구가 성공하면 수소생산분야의 다양화로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의 오는 2040년 연간 수소 공급량(526만t) 달성에 기여하고 도심지 인근에 있는 매립지에서 수소를 생산할 경우 재생에너지를 활용한 수소차충전소 보급 등 보다 다양한 방법으로 수소를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하고 있다.  그동안 대구시는 쓰레기 매립으로 발생하는 매립가스를 포집·정제해 한국지역난방공사 대구지사에 보일러용 중질연료로 공급하는 매립가스 자원화사업을 지난 2006년부터 추진, 매립장 악취피해를 최소화하고 연간 5000만㎥의 매립가스를 연료화해 15만배럴의 원유를 대체하고 있으며 2007년 지자체 최초로 매립가스 자원화사업을 UN의 CDM사업으로 등록해 현재까지 280만t의 탄소배출권 확보하고 그 중 190만t을 판매, 407억원의 수입을 올린바 있다.  대구시는 대표적인 지구온난화 물질인 이산화탄소보다 지구온난화 기여도가 24배 더 높은 매립가스의 활용처를 다양화하고 고부가가치 물질로 전환함으로써 시 수입증대와 더불어 전 세계적 이슈인 지구온난화 방지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명열 기자rositante@kakao.com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