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염력이 강한 델타변이 바이러스와 에어컨 바람이 만나면 바이러스가 먼 거리까지 확산될 우려가 높아져 여름철 방역의 새 변수로 등장했다.
닫힌 공간 내 환기가 제대로 되지 않는 상황에서 더운 날씨로 에어컨 가동이 증가함에 따라 이와 관련한 델타바이러스 감염 추정 사례가 잇따라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보건당국은 지난 4일 오전 코로나19 확진판정을 받은 전북2387번은 앞서 2일 확진된 구례 12번 확진자와 동선이 겹친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이들은 일행은 아니었고 남원의 한 음식점에서도 따로 식사를 한 것으로 조사됐는데 음식점이라는 닫힌 공간에서 에어컨 가동이 시작되면서 쉽게 전파된 것으로 보건당국은 보고 있다.
전북도 보건당국은 최근 대부분 일행이 아니면 동선이 겹치더라도 감염되는 일이 드물었기 때문에 남원시 공무원의 경우 음식점이라는 닫힌 공간에서 냉방기 가동이 시작되면서 쉽게 전파된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여러 정황상 감염 확률이 2.5배 정도 되는 델타 변이 바이러스로 보는 것이 맞다고 판단해 질병관리청에 판단을 의뢰했다.
전북도와 남원시는 남원시청 공무원들에 대해 재택근무와 능동감시 등 감염을 막을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동원한다는 방침이다.
부산의 경우 방역 감시망을 피해 감성주점을 즐기러 온 20∼30대 서울 확진자들로 인해 방역에 비상등이 켜졌다.
지난달 22일 서울 동대문구 확진자 4명이 A감성주점을 방문했는데 일행 4명 중 3명이 확진 판정을 받았다. 같은달 27일에는 부산 확진자 1명이 A감성주점에 방문해 대전지역 접촉자 1명이 확진 판정을 받았다.
B감성주점에는 지난달 27일 서울 송파구 확진자 1명이 방문했고, 이어 부산 확진자 2명이 들렀다. 유증상 확진자가 방문한 C주점에서는 종사자 2명이 감염됐다.
부산지역 감성주점에서의 집단감염 역시 밀폐된 공간에서의 에어컨 가동 때문인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에어컨 감염 사례는 지난해에도 있었는데 서울 강동구의 한 텔레마케팅 콜센터가 위치한 건물 8층의 사무실 손잡이와 에어컨에서 코로나19 바이러스가 검출된 바 있다.
역시 지난해 여름철 수십 명의 감염자가 나왔던 경기 파주시 스타벅스와 안양 분식집, 서울 강남구 양재동 족발집 등도 에어컨이 주요 감염원으로 지목된 사례다.
경주 지역도 하절기 에어컨 사용이 늘어나 환기가 미흡해질 우려가 있고 휴가철을 맞아 이동량이 증가하고 감염 위험도가 높아질 것에 대비해 밀폐된 실내 환경에서는 맞통풍을 시키는 등 자연환기를 유도하고 예방접종 여부와 관계없이 실내에서는 마스크를 철저히 착용하도록 하는 등 여름철 방역에 집중해야 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