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부 정보 등으로 개발지역의 정보를 빼내 부동산에 투기한 76명이 검찰에 송치됐다. 23일 대구경찰청에 따르면 반부패경제범죄수사계는 지난 3월15일부터 이달 22일까지 부동산 투기 의혹과 관련해 모두 21건, 222명을 수사했다.  경찰은 이들 중 8건, 76명을 검찰에 송치하고 기획부동산 사건 주요 피의자 소유의 부동산 등 41억9000만원 상당을 추징했다.  또 내사 종결한 사안 외에 4건 103명에 대해서는 수사를 계속하고 있다. 검찰에 송치된 사례는 공공주택지구 내 위장전입한 33명과 투기를 목적으로 농지를 불법 매입한 19명이다.  또 의료시설용지 불법 전매 15명, 부동산 차명거래 9명이며 이들 중에는 공무원 3명, 교수 2명, 한국토지주택공사(LH) 직원 1명이 포함됐다.  경찰은 그러나 LH가 개발하는 연호공공주택지구 내 부동산 투기 의혹을 받는 김대권 수성구청장에 대해서는 "범죄 혐의점을 찾을 수 없다"며 불송치 결정을 했다.  앞서 김 구청장은 부구청장 재직 때인 지난 2016년 3월 주말농장을 한다며 개발지구 지정 전 이천동 토지 420㎡를 2억8500만원에 샀다가 나중에 3억9000만원을 받고 판 일이 알려져 수사를 받았다.  경찰은 수성구청에 대한 압수수색을 두차례 진행했지만 불법 투기 혐의점을 찾아내지 못했다.  경찰 관계자는 "내부 비밀을 이용해 투기한 의혹은 있었으나 수사 결과 업무 연관성이 드러나지 않았다"고 말했다.  공원 개발제한구역 부동산 투기 의혹을 받는 대구의 한 기초의회 의장의 경우 지난달 경찰이 농지법 위반 등 혐의로 구속영장을 신청했으나 기각된 후 최근 기소 의견으로 검찰에 송치됐다.  대구시가 공무원과 공무원 가족 등을 상대로 자체 조사한 결과 투기 의혹을 받은 공무원 4명도 농지를 불법 매입한 혐의가 없어 불송치 등의 결정을 받았다.  경찰은 연호지구에 주택을 지어 전입한 이들 중 33명에 대해서는 위장전입 혐의로 9명은 부동산 차명거래 혐의로 각각 송치했다.  경찰 관계자는 "아파트 부정청약 사건, 기획부동산 사건 등을 포함한 부동산 투기 사범 103명에 대해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명열 기자rositante@kakao.com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