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문화재청은 영덕군 영해면에 있는 `영덕 괴시마을`을 국가민속문화재로 지정했다.
지난 2018년도 경북도 문화재위원회(건축분과 제9차) 심의를 거쳐 국가지정문화재로 승격 신청한 `영덕 괴시마을`에 대해 문화재청은 30일간의 예고기간을 거쳐 문화재위원회의 심의 후 이달 21일 국가지정문화재(국가민속문화재)로 지정했다.
국가민속문화재는 의·식·주 생활과 풍습 등 학술적·예술적으로 중요한 가치를 지닌 문화유산으로 민속마을은 마을 자체가 문화재여서 그 의미가 크다. 영덕 괴시마을은 경주 양동마을, 안동 하회마을, 영주 무섬마을, 성주 한개마을에 이어 국가민속문화재 중 민속마을 전국 8번째, 경북 5번째로 지정됐다.
`영덕 괴시마을`은 고려말 대학자 목은 이색(1328∼1396)이 태어난 마을로 함창김씨(목은선생의 외가)가 처음 터를 잡았고 조선 인조 8년(1630년) 영양남씨들이 정착한 이후 그 후손들이 세거해 온 집성 반촌이자 전통 마을이다.
마을 내에는 영양 남씨 괴시파종택(경북 민속자료 제75호)을 비롯해 다수의 고택, 서당, 정자, 재사 등 지정문화재 및 비지정 전통 건축물 56개동이 잘 남아 있을 뿐만 아니라 주생활과 민속, 신앙, 의례 등 전통적 관습과 문화가 함께 전승돼 오고 있다.
마을 내 가옥 대부분은 안동지역 상류주택에서 볼 수 있는 뜰집(채의 분화 없이 안채, 사랑채, 부속채 등이 하나로 연결돼 `ㅁ` 자형을 이루는 주택)에 사랑채가 돌출된 날개집 형태를 취하고 있고 지형의 영향으로 가옥 배치 전체가 서향을 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영덕 지방 `ㅁ` 자형 가옥에서 많이 나타나는 통래퇴칸(통상 상방(주인이 거쳐하는 방) 전면에 설치된 통로 기능의 공간으로 제사 시 제물을 나르는 등의 용도로 이용)을 괴시마을 내 대분의 `ㅁ` 자형 가옥에서 그 존재와 흔적을 살필 수 있다.
동해안 대표 반촌마을인 영덕 괴시마을의 주민들은 마을 자치회를 구성해 마을의 전통성과 역사성을 보존·관리하는 한편 전통문화체험장으로 활용하기 위해 한옥스테이 등을 적극 실시해 우리 고유의 전통문화를 배울 수 있는 교육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영덕군은 영덕 괴시마을 국가민속문화재 지정을 기념하는 기념행사를 오는 29일 괴시마을 괴정 앞 야외무대에서 김현모 문화재청장, 이철우 도지사, 이희진 군수, 고우현 도의회의장 등 관계자가 참석한 가운데 개최할 예정이다.
박노환 기자shghks7@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