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남대학교가 지난 11일 영남권 10개 대학박물관 특별연합전 `오랜 기다림, 수장고를 나서다`의 막을 열었다.
이번 특별전은 영남권 10개 대학교 박물관이 오랜 세월에 걸쳐 발굴해 온 유물 중에 지난 5년간 엄선한 신라·가야 고분의 주요 유물을 한자리에 모아 대중에게 처음으로 공개하는 자리라 그 의미가 더욱 크다.
최초로 대가야 무덤을 발굴한 고령 지산동 45호분(계명대학교 행소박물관)과 경주 신라 고위급 무덤인 황오동 100번지 유적(동국대학교 WISE캠퍼스 박물관)을 비롯해 삼국 문화 교류를 보여주는 영주 순흥 벽화고분(대구대학교 중앙박물관)의 유물을 만나볼 수 있다. 또한 `제7의 가야`라 불리는 합천 옥전고분군(경상국립대학교 박물관)과 가야 문화의 번성과 신라로 편입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복천동고분군(부산대학교 박물관), 해상교역의 중심지 고성 송학동고분군(동아대학교 석당박물관)의 발굴 성과를 만나볼 수 있다.
이 외에도 60여년 전에 발굴한 경주 황오동 고분(경북대학교 박물관), 금관가야 이후의 고분인 구산동 고분(국립부경대학교 박물관), 신라 묘제를 새롭게 연구한 울산 중산리 고분군(국립창원대학교 박물관)을 비롯해 압독국의 실체를 밝히고 있는 임당동과 조영동 고분군(영남대학교 박물관)에서 발굴된 유물을 통해 신라·가야 시대의 생활상을 들여다 볼 수 있다.
국가유산청이 주최하고 (사)한국대학박물관협회가 주관하는 이번 특별전은 오는 10월 24일까지 영남대학교박물관에서 열리며 평일과 토요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5시까지 시민 누구나 무료로 관람 가능하다. 단체 관람은 영남대학교 박물관 학예팀(053-810-1707)으로 문의하면 된다.
강두완 기자backery@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