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전 국민을 대상으로 소비쿠폰을 지원하기로 하자 유통업계가 엇갈린 반응을 보이고 있다.
사용처에 포함된 편의점은 매출 반등의 계기가 될 것이란 기대감을 보이지만 포함되지 않은 대형마트 등에선 `역차별` 등 볼멘소리가 나온다.
행정안전부와 유통업계에 따르면 정부는 오는 21일부터 국민 1인당 15만~45만원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한다고 밝혔다.
소비쿠폰은 전통시장, 동네마트, 식당, 의원, 학원 등 연 매출 30억원 이하 소상공인 운영 매장에서 사용할 수 있다. 유통 대기업의 경우 편의점 업종의 본사 직영점은 소비쿠폰을 쓸 수 없지만 가맹점에서는 사용할 수 있다.
반면 대형마트, 기업형슈퍼마켓(SSM), 백화점, 면세점, 온라인 쇼핑몰 등은 지역 경제 활성화라는 정책 목적상 사용 대상에서 제외된다. 사용처에 자영업자가 운영하는 SSM 일부가 포함됐던 지난 2020년 긴급재난지원금과 비교하면 범위가 좁아졌다.
편의점 업계는 이번 소비쿠폰이 업황 부진을 개선하는 계기가 될 것이란 기대가 크다. 특히 편의점은 가맹점(소상공인) 비중이 높고 연 매출도 소비쿠폰 사용 기준(30억원) 이하인 경우가 많아 대부분의 점포가 소비쿠폰 사용 대상에 포함될 것으로 예상된다.
편의점 업계는 과거 같은 상황에서도 매출 상승효과를 봤다. GS리테일에 따르면 지난 2020년 GS25의 지역화폐 사용액은 긴급재난지원금이 지급된 3월과 비교해 △4월 102% △5월 214% △6월 169% 증가했다. 특히 생필품, 먹거리 등 소비에 수요가 몰렸다.
전문가들은 소비쿠폰의 5% 수준이 편의점으로 유입될 것으로 추산하고 있어 기존점의 매출 회복이 기대된다.
반면 대형마트업계는 고객이 소비쿠폰을 사용할 수 있는 다른 유통 채널로 이동해 매출에 타격을 받을 것으로 우려한다.
일부에선 소비쿠폰 지원은 없는데 정부가 주도하는 각종 할인 행사는 대형마트를 중심으로 이뤄지는 등 `역차별`이라는 볼멘소리도 나온다.
최근 농림축산식품부는 물가 안정 방안으로 이달 한 달 동안 대형마트 등을 중심으로 대대적인 할인 행사를 진행한다고 밝힌 바 있다.
과거 재난지원금 지급 당시에는 사용처에 포함됐지만 이번 소비쿠폰 사용처에선 제외된 SSM도 불만이 크다. 다만 당정은 식자재마트의 경우 비수도권에 한해 소비쿠폰을 사용하게 해야 한다는 의견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배달앱은 원칙적으로 소비쿠폰을 사용할 수 없지만 배달원이 음식을 가져다주면서 가맹점 자체 단말기를 가져와 대면 결제하는 경우에는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음식점에 직고용돼 가맹점 단말기를 상시로 갖고 다니는 배달원이 많이 없는 만큼 소비쿠폰 사용이 유의미한 수준이 되지 않을 수도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유통업계에선 유통 대기업과 전통시장을 일률적으로 구분해 한쪽만 지원하는 형태에서 벗어나야 한다는 지적이 많다.
특히 전통시장뿐만 아니라 사실상 모든 업종이 침체된 상태다. 추경 효과가 일부가 아닌 산업 전반으로 퍼져나갈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여론이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