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첫 상업 원자력 발전소인 고리 1호기의 원전 해체가 결정됐다.
한국은 오는 2050년 500조원 규모에 달할 원전 해체 시장을 위한 경험과 기술 축적 기회를 맞았다.
원자력안전위원회는 지난달 26일 제216회 전체 회의를 열고 `고리 1호기 해체승인(안)`을 의결했다. 고리 1호기는 1978년 4월 상업운전을 시작해 지난 2017년 6월 영구정지됐다. 한국수력원자력㈜(이하 한수원)은 관련 규정에 따라 2021년 5월 원안위에 해체 승인을 신청한 바 있다.
이번 해체 결정에 따라 한국수력원자력은 향후 12년간 총 1조 713억원을 투입해 고리 1호기 해체를 진행한다.
한수원은 이를 위해 원전사후관리처(25명), 고리1호 해체사업실(68명), 중앙연구원 원전사후그룹(15명) 등 108명이 소속된 3개 전담 조직을 만들어 운영하고 있다.
한국전력기술 및 미국 RSCS사와 공동 개발한 DeCAT 프로그램으로 평가한 원전 해체 비용은 △해체사업비(7072억원) △원전해체지원시설비(1016억원) △방사성폐기물 처분비(2467억원) △비방사성폐기물(158억원) 등 총 1조713억원이다.
한수원은 이번 해체 승인에 따라 △영구정지 관리 및 해체 준비 △해체 착수 및 비방사선구역 해체 △오염구역 해체 △부지복원 등 약 12년에 걸쳐 단계적으로 해체를 추진해 나갈 예정이다.
원안위는 해체 과정에서 현장을 매일 점검하고 반기마다 사업자의 해체 상황을 보고 받아 심층 점검을 수행할 계획이다.
한수원을 비롯해 국내 원전 업계는 이번 고리1호기 해체 사업이 한국의 글로벌 해체 시장 진출에 큰 의미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국제원자력기구(IAEA)에 따르면 오는 2050년까지 세계적으로 총 588기의 원전이 영구정지될 예정이다. 기관별 차이는 있으나 2050년 기준 원전 해체 시장 규모는 약 500조원에 달할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현재 한수원은 해체시설 구조적 안전진단 등 58개 해체 상용화 기술을 확보하고 있다.
한국원자력연구원(KAERI)도 핵심 기반 기술 38개를 확보해 한국이 보유한 원전 해체 기술은 96개에 달한다.
이번 고리 1호기 해체로 해체 경험까지 축적되면 향후 글로벌 원전 해체 시장에서 한국이 우위를 갖게 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세계에서 원전 해체 경험을 갖고 있는 나라는 미국, 독일, 일본, 스위스 등 4개국에 불과하다.
우리나라는 아시아 최초의 상업용 원전 해체 경험을 통해 향후 폭발적으로 증가할 원전 해체 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기술력과 노하우를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고리1호기 해체 승인이 원자력 산업 경쟁력 강화와 신규 일자리 창출을 위한 마중물이 되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