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은 현재의 이익과 만족을 미래의 보상보다 더 높게 평가하는 경향이 있다. 이는 즉각적인 보상을 선호하고 미래의 결과나 보상을 상대적으로 과소평가하는 인간의 심리적 특성에서 비롯된다.    이러한 현상을 행동경제학 용어로 `현재편향`이라고 한다. 현재와 가까운 보상일수록 감정적인 이율이 상승하며 현재와 멀리 떨어져 있을수록 이율과 중요성을 낮게 여기는 현상으로 `과도한 가치 폄하`라고도 한다.  최근에는 유권자 개개인의 현재편향 오류에 더해 선거 자체의 정당성을 훼손해 민주주의를 정면으로 위협하는 요소가 사회 전반에 확산하고 있다. 바로 부정선거 음모론이다.  과거에도 부정선거를 주장하는 세력들이 없었던 것은 아니나 지난해 비상계엄 사태 등으로 사회적으로 큰 주목을 받고 유튜브, SNS 등에서 조회수·구독자수 확보 등 경제적 목적으로 자극적인 부정선거 콘텐츠를 양산하면서 일반 대중에게 부정선거 음모론이 더욱 확산되고 있다.  모든 선거관리 절차는 철저한 적법 절차 하에 진행되며 투표과정을 비롯해 투표함 이송·보관 및 개표의 전 과정을 참관인이 지켜보고 그러한 과정에 수 많은 투·개표 인력이 종사하므로 부정이 개입되거나 결과를 조작하는 것은 불가능한 구조이다.  제21대 국회의원선거가 끝나고 부정선거를 주장하며 제기된 선거소송은 126건이었다. 이 중 단 한 건도 인용되지 않았다. 제22대 국회의원선거에서는 총 35건의 선거소송이 제기돼 29건이 진행 중이기는 하나 6건이 종결됐으며 그 중 인용된 사례는 없다. 132건의 선거무효소송에서 인용 사례가 1건도 없다는 것은 의혹의 실체가 없다는 반증이다.  그럼에도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확산되는 부정선거 음모론에 대응하기 위해 선관위는 투개표관리의 투명성과 신뢰성을 강화하기 위한 여러 제도를 마련했다.  제22대 국선 때부터는 사전투표함 보관장소 CCTV를 24시간 공개하고 개표과정에 수검표 절차를 추가했다. 이번 대선에서는 일반 국민이 궁금해하거나 오해할 수 있는 모든 선거관리과정을 투명하게 공개하는 공정선거참관단도 운영한다.  제21대 대통령선거가 얼마 남지 않았다. 실체가 없는 의혹들에 현혹되지 않고 사회갈등과 국론 분열을 조장하는 음모론을 스스로 배격함으로써 훼손된 선거의 정당성을 회복하는 데 함께 노력해야 할 것이다.  이번 대통령선거에서 선거제도를 신뢰하는 성숙한 시민의식을 바탕으로 1표의 미래 가치를 지향하며 유권자 모두 민주시민으로서의 권리를 빠짐없이 행사함으로써 민주주의가 굳건히 바로 서길 기대한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