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미산단 수출액은 46억193만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0.3% 감소한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구미상공회의소 경북FTA통상진흥센터가 관세청 수출입통계와 한국무역협회 통계자료를 활용해 올해 1/4분기 구미지역 수출 실적을 분석한 결과이다.
월별 수출 추이를 살펴보면 올해 1월 수출액은 전년 대비 15.6% 감소하며 큰 폭의 하락을 보였다. 이는 전년보다 공휴일이 많아 조업일수가 줄어든 영향으로 분석됐다.
반면 2월 수출액은 15.3% 증가, 3월은 2.9% 증가를 기록하며 점진적인 회복세를 보였다.
품목별로는 무선통신기기 부품이 15억9131만달러로 전체 수출의 약 34.6%를 차지하며 가장 높은 수출액을 기록했다. 이어 무선전화기, 평판디스플레이, 실리콘웨이퍼, 인쇄회로 순으로 상위 수출 품목 대부분이 반도체 및 전자부품 중심으로 구성돼 구미지역의 산업 구조를 잘 보여주고 있다.
주요 수출국별 실적을 살펴보면 중국이 23억5954만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약 11.0% 증가하며 최대 수출국의 자리를 유지했다. 미국은 6억4216만달러로 소폭 감소했으며 베트남은 3억7545만달러로 큰 폭의 증가세를 보였다. 이어 일본은 소폭 증가했고 캐나다는 전년보다 44.9% 감소하며 상위수출국 중 가장 큰 감소율을 기록했다.
수출국별 주요 품목의 경우 중국은 무선통신기기 부품 15억3031만달러로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했으며 이어 평판디스플레이 1억7169만달러, 실리콘웨이퍼, 집적회로반도체 등이 뒤를 이었다.
미국은 무선전화기 2억15만달러, 기타 정밀화학원료, 실리콘웨이퍼중심이었고 베트남은 평판디스플레이 2억6690만4000달러, 집적회로반도체, 일본은 축전지와 필름류, 캐나다는 무선전화기 1억1503만8000달러, 운반하역기계가 주요 수출품목으로 나타났다.
상위 품목과 국가별 수출을 종합해보면 구미지역 무선통신기기 부품수출액의 96.2%가 중국으로 향해 압도적인 비중을 보였다.
무선전화기는 총 4억9874만달러 중 미국 40.1%, 캐나다 23.1% 등 북미 지역에 집중됐으며 평판디스플레이는 베트남 59.3%, 중국이 38.2%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이를 통해 주요 품목의 수출이 특정 국가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윤재호 경북상공회의소 회장은 "대외 불확실성 속에서도 구미가 경북 수출의 절반 이상을 견인하고 있는 점은 고무적이다"라며 "1분기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다소 감소, 트럼프 대통령의 통상정책 영향으로 하반기에도 어려움이 지속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이어 "수출 활성화와 경쟁력 제고를 위해서는 기업의 노력은 물론 정부와 유관기관의 정책적 지원과 수출하기 좋은 환경 조성을 위한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박의분 기자ub0104@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