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미지역 기업경기(BSI) 전망치는 92로 나타나 전 분기(79) 대비 13% 상승 한 것으로 나타났다.이는 구미상공회의소가 지난 달 21일부터 이달 7일까지 지역 내 105개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실시한 2025년 2/4분기 기업경기전망 조사 결과 이같이 조사됐다.응답업체 105개사 중 42개사가 경기가 호전 될 것으로 전망한 반면, 33개사는 악화를 전망, 30개사는 경기불변을 예상했다.업종별로는 기계·금속(100)은 전분기와 비슷 할 것으로 내다 봤으나 섬유·화학(77), 전기·전자(75), 기타 업종(97)에서는 여전히 어려울 것으로 분석했다.기업 규모별로는 대기업은 79, 중소기업은 95로 나타났다.또한 세부 항목별로는 매출액 부문에서 107로 나타나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지만 영업이익 92, 설비투자 89, 자금사정 79은 기준치를 밑돌아 채산성·투자·유동성 부문은 여전히 녹록치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2025년 2/4분기 전국 BSI는 전 분기 대비 7포인트 상승한 79를 기록했으며, 대전(104)과 세종(100)을 제외하면 모든 지역이 기준치를 넘지 못한 가운데 경북은 79, 대구와 인천은 각각 66으로 나타났다.또한 올해 계획한 매출액은 지난해 설정한 목표치와 비교했을 때 어떤 수준인가 라는 질문에는 지난해보다 높거나 비슷하게 설정한 기업이 68.6%, 하향 설정한 기업은 31.4%로 나타났다.이어 올해 계획한 투자 목표치는 지난해와 비교했을 때 어떤 수준인가라는 질문에는 지난해 보다 높거나 비슷한 수준이라고 응답한 기업이 74.3%, 하향 설정한 기업은 25.7%로 나타났다.다소 전향적으로 매출·투자 계획 목표치를 설정하고 있는 가운데 올해 상반기 사업실적에 가장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대내외 리스크 요인은 무엇인가 라는 질문에는 내수경기 부진 28.2% 을 가장 많이 꼽았다.이어 원자재 가격상승 23.9%, 트럼프 관세정책 22.5%, 고환율 기조 지속 11.0%, 국내 정치적 불확실성 8.6%, 자금조달 및 유동성문제 3.3%, 파업 등 노사문제 0.5% 등 순으로 나타났다.구미상공회의소 윤재호 회장은 “대내외 불확실성이 큰 가운데 본 회의소에서는 트럼프 어게인의 저자인 최병일 이화여대 명예교수를 초청트럼프발 이슈와 지역기업 영향 및 대응전략을 짚어보는 장을 마련했다, 수도권에 비해 열악한 지방의 경영‧근로여건 개선을 위해 비수도권상공회의소협의회에서는 법인세·상속세·근로소득세 지방 차등 적용 건의 등 지속적으로 한 목소리를 낼 것이다”고 밝혔다.박의분 기자ub0104@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