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미시가 청년과 여성이 안정적인 청착할수 있도록 만전을 기한다. 이에 시는 2030 청년 여성의 지역 정착방안을 마련키 위해 인구 재구조화 연구용역을 본격 추진한다.    지난해 기준 구미시와 타 지역 간 순이동 인구는 736명이 유출됐으며 이 가운데 625명 84%가 20~30대 여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제조업 중심의 산업구조와 이공계열 위주의 대학환경이 주요원인으로 분석되고 있다.  이로 인해 청년 인구 성비(여성 100명당 남성 수)는 127명으로 심각한 불균형을 보이고 있다. 특히 주 출산 연령대 25~39세의 성비 불균형이 혼인·출산율 저하로 이어지는 구조적 문제를 초래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구미시는 연구용역의 첫 단계로 19일 시청 대강당에서 2030 여성 포럼 발대식을 개최했다.  포럼에는 정책 수요자의 목소리를 직접 듣고 반영키 위해 구미에서 거주하거나 일하는 20~30대 여성 100명이 위촉됐다. 포럼 명칭은 `지혜야, 구미에 살래?`로 정했다. 2030 여성에게 가장 많은 이름인 `지혜`를 사용해 정책 참여를 친근하게 유도하고 정책수립을 수요자 중심으로 함께 고민하겠다는 의미를 담았다. 슬로건은 `100명의 지혜가 지혜를 모아` 로 여성의 이름인 `지혜`와 상황을 깊게 이해하는 `지혜(智慧)`라는 단어를 중의적으로 활용해 위트있게 표현했다.  시는 이번 포럼을 시작으로 전문 연구기관을 선정해 정책개발에 적극 나선다. 특히 공급자 중심의 기존 방식에서 벗어나 정책 수요자가 기획 단계부터 참여하는 `공공서비스 디자인` 기법을 도입해 정책의 실효성을 높인다.  김장호 시장은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해 청년과 여성이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는 구미를 만들겠다"며 "결혼과 육아가 부담이 아닌 선택이 될 수 있도록 실질적인 정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박의분 기자ub0104@hanmail.net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