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겨울은 예년과 달리 전국이 눈폭탄에다 강풍까지 불어닥쳐 영하의 날씨가 계속되는 등 훨씬 추워진 겨울을 보내고 있다. 예년보다 더 추워진 최강한파가 이어지면서 농촌지역마다 화목보일러 사용이 늘고 있다. 화목보일러는 겨울을 나고 봄까지 계속되는 추위를 이겨 낼 난방용으로 농촌 가정마다 화목보일러를 설치해 애용하고 있다.
하지만 이처럼 유용한 화목보일러도 자칫 관리에 소홀하면 화재발생은 물론 일산화탄소 중독 등 위험한 사고를 초래할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올해 도내를 포함해서 농촌지역에서 발생한 화재 및 일산화탄소 중독사고는 대부분 화목보일러에서 비롯되고 있다.
난방용 농촌 필수품인 화목보일러는 부적절한 연료 사용으로 인해 보일러 내부에 그을음이 쌓여 연통이 막히면서 화재가 발생하고 대부분 실내에 설치한 탓에 일산화탄소로 인한 인명 피해까지 발생하는 등 안타까운 소식이 잇따르고 있다.
화목보일러를 사용할 때는 안전수칙을 반드시 준수해야 한다.
첫째 화목보일러 설치와 점검은 꼭 전문가에게 맡겨야 한다. 화목보일러는 규격에 맞는 제품을 선택해야 하고 인증된 전문가를 통해 설치해야 한다. 또한 연통과 배기구의 이상 유무를 정기적으로 점검해 막힘이나 손상 여부를 수시로 확인해야 한다.
둘째 적절한 연료를 사용해야 한다. 습기가 많거나 불법 폐기물을 연료로 사용할 경우 유독가스가 발생 할 가능성이 높아 화재 발생과 건강을 해지는 등 다양한 문제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연료로 사용하는 화목은 잘 건조시킨 나무를 사용해야 하고 비닐이나 플라스틱 등의 폐기물은 절대 투입해서는 안된다.
셋째 환기와 일산화탄소 감지기를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화목보일러를 사용할 때는 실내 공기가 원활하게 순환할 수 있도록 충분한 환기 공간을 확보해야 한다. 또한 일산화탄소 감지기를 설치하고 주기적으로 점검해 유사시 경보를 통해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준비해야 한다.
넷째 화재 예방을 위한 안전 수칙을 준수해야 한다. 보일러 주변에는 가연성 물질을 두지 말고 화목보일러 사용 후에는 불씨가 완전히 꺼졌는지 확인해야 한다. 또한 비상시를 대비해 소화기를 준비하고 온 가족이 사용법을 숙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하지만 농촌지역 화목보일러 설치가정은 이같은 안전수칙을 대부분 등한시 한다.
대부분 연세가 많은 어르신들 인데가 안전불감증까지 만연해 자칫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어 지자체마다 화목보일러 안전점거반 가동 등 특단의 대책마련이 요구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