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젊은이가 돌아오는 부자 농어촌`을 조성하기 위해 귀농·귀촌인 맞춤형 정착 지원 등 행정을 펼쳐 온 경주시가 귀농·귀촌 최적지로 인정받았다.  경주시는 지난달 27일 서울 양재 엘타워에서 열린 `2024년 국가서비스대상`에서 공공행정 서비스 귀농귀촌 정책부문에서 2년 연속 대상을 수상했다.  경주시는 `젊은이가 돌아오는 부자 농어촌`을 목표로 귀농·귀촌인 지원사업과 웰컴팜교육지원센터 조성 등에서 심사위원들의 높은 평가를 받았다.  귀농·귀촌인 맞춤형 정착 지원 사업으로는 이사비용 및 주택수리비 지원, 임시거주지 임차료 지원 등을 추진하고 있다. 영농기반 정착을 위해서는 소형농기계 구입 및 농지 임차료 지원, 영농자재 구입 및 귀농인 우수 유치마을 지원 등이 이뤄지고 있다.  이뿐만이 아니다. 지역 우수농업인 또는 성공 귀농인인 선도농가가 이주한 귀농인의 초기 영농 실패의 부담을 줄이고자 귀농인 농장을 방문해 영농기술과 시설관리법 등의 컨설팅을 제공한다.  사업 초기 관심 있는 분야 작목 재배기술 습득, 정착과정 상담 등 현장실습 교육에 5개월간 참여한 연수생에게는 최대 월 80만원, 선도농가에게는 최대 월 40만원을 각각 지원한다.  경주농업대학에서는 지난 3월부터 오는 10월까지 귀농·귀촌 과정뿐만 아니라 치유농업, 사과 과정을 주 1회(3~4시간) 운영한다. 귀농·귀촌 가구주가 지역민들과 식사, 다과 제공 등의 화합행사를 진행하고자 하는 경우 135만원 한도 내 환영행사 비용을 지원한다.  주낙영 시장은 "편리한 교통과 우수한 영농 환경, 다양한 귀농·귀촌 지원 사업을 추진하는 경주가 최근 귀농·귀촌 최적지로 주목을 받고 있다"며 "앞으로도 귀농·귀촌 웰컴팜교육지원센터 조성으로 농업 전문인력 양성에 핵심적인 인프라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박삼진 기자wba112@daum.net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