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의정포럼은 지난 13일 경주서라벌문화회관에서 소멸도시 경주살리기 세미나를 개최했다.  신라 천년의 역사가 담겨있는 고도 경주는 지난 2018년 8월 한국고용연구원으로부터 소멸위험도시로 선고를 받은 바 있다.    이날 세미나에는 지역 각 단체 대표를 비롯 600여명의 시민들이 참석해 당면한 경주의 위기 탈출을 위한 대안을 모색했다.    제1주제를 발표한 김중헌 배재대학교 교수는 "천년고도 경주를 살리기 위해서는 경주시의 중심가에 있는 경주역사 부지에 파리의 에펠탑 같은 관광 명물을 세우고 천년고도의 역사 문화 관광의 세계적 명소를 만들어야 한다"는 제안을 했다.  또 제2주제를 발표한 손영하 창신대학교 교수는 "소멸 위험에 처한 경주를 살리는 길은 산속에 있는 한수원을 경주대학교의 자리에 이전시키는 것이다. 동시에 당초 정부가 약속했던 수백 개의 원자력 관련 기업이 따라온다면 경주는 에너지 스마트 시티, 부자 도시로 탈바꿈할 수 있다. 시민들이 주권 행사를 분명히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날 세미나에 참석한 각 단체 대표와 600여명의 시민 중에는 "오늘 논의된 죽어가는 경주살리기 방안은 말로만 하지 말고 구체적인 실천을 위해 `한수원 경주대 이전 추진위원회`를 당장 결성하고 범시민 서명운동을 더욱 적극적으로 전개하자"는 주장을 제기하기도 했다.    세미나를 주최한 경주의정포럼 회원들과 일부 시민들은 세미나를 마친 후 한수원 경주대 이전 서명운동을 펼치는 한편 김일윤 경주대 총장을 찾아가 한수원 경주대 이전을 위해 경주대학교를 내놓으라고 요청하고 확인 서명을 강요했다.  또 한수원 경주대 이전과 수백 개 관련 기업의 경주 유치, 경주 원자력 에너지 메카, 경주역사 세계적 명소 건립을 위해서는 5선 경력의 김일윤 총장이 국회로 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손 회장은 "경주가 처한 소멸위기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와 지자체가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저출생과 인구 감소를 막지 못하고 있다. 시민들이 경주 살리기 위해 직접 나서야 한다. 오늘 뜻깊은 포럼을 통해 경주살리는 방안을 찾아주시기를 바란다"고 개회 인사를 했다.    한편 저출생 고령화로 65세 이상 노령인구의 수가 가임여성(20~39세) 수보다 2배가 많으면 `소멸위험지수`가 0.5로 그 도시는 소멸 위험에 처했다고 본다.    경주시는 지금으로부터 40년 전인 지난 1980년대 기준으로 인구수는 30만명이었다. 10년 전 2010년대에는 26만명이었으며 현재 24만명이 됐다. 출생자와 사망자를 상계해서 최근까지 해마다 2000명의 인구가 감소하고 있다. 서경규seoul1411@hanmail.net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