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농업기술원은 7일 농업인회관에서 경북도 스마트농업연구회 주관으로 `소득은 두 배로, 농업은 첨단산업으로`라는 내용의 첨단기술 기반 경북농업 대전환을 위한 세미나를 개최했다.    최근 스마트팜 위주의 기술 보급이 많이 이뤄지고 있지만 앞으로 경북농업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인공지능, 농업로봇, 식물공장 등 첨단 디지털 기술의 확산이 필수적이다.  이에 세미나에서는 농업 전문기자로서 `농업, 트렌드가 되다`의 저자인 정혁훈 매일경제신문사 부국장이 새로운 성장산업인 농업과 첨단 스마트농업 개발 방향 등 미래를 준비하는 경북의 디지털농업에 대해 기조 강연을 했다.  또 △제2회 세계 인공지능 농업 대회에서 3위를 수상한 서현권 세종대 교수의 생산성은 높이면서 노동력과 에너지 사용을 줄이는 인공지능 기술 △조진형 아이오크롭스 대표의 로봇을 이용한 딸기 생육진단, 자율주행 및 수확 등 경북농업기술원과 공동으로 개발 중인 기술 소개 △박은호 엘앤피 대표의 완전 밀폐형 식물공장에서 딸기 생산기술 등 경북도가 반드시 확보해야 할 미래 농업 기술에 대한 발표가 있었다.    경북도는 민선8기 도정 목표를 `농업의 첨단 산업화로 열어가는 지방시대`로 설정하고 기후 온난화로 인한 기상이변, 고령화, 일손 부족 등 사회 여건이 점차 어려워질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4차산업혁명 기술 기반의 첨단산업으로 바뀌어야 농업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고 밝혔다.  경북농업기술원은 이러한 농업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지난 7월 스마트분야 연구·지도공무원 73명으로 구성된 스마트농업연구회를 결성하고 △스마트팜 ICT △인공지능 기술 △농업로봇 기술 △식물공장 등 4개 분과로 구성해 운영하고 있다.    향후 연구회는 도내 시군농업기술센터와 인공지능, 로봇, IT기술을 보유한 기업, 대학과 함께 협업하는 스마트농업 협의체를 구성해 필요한 지식과 기술의 전문적인 교육으로 시너지 효과를 높일 계획이다.   박외영 기자p04140@naver.com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