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는 지난 2019년 4월부터 `물품선정 계약심사제도`를 전국 최초로 도입해 물품선정의 공정성을 기해 왔으나 운영상 미비점을 대폭 개선해 공정성과 투명성을 더욱 강화한다.  지난 5년 동안 운영한 결과 5533건 2509억원을 심사해 123억원을 절감했고 지역업체 생산물품 구매건수 비율은 제도 시행 전 22%(조달청 기준)에서 52%(2023년 7월 말 기준)로 대폭 높아져 지역제품 구매에 상당한 효과가 나타나 지역업체 제품 공공구매 창구 역할을 톡톡히 해오고 있다.  이번 개선안의 주요 내용은 발주부서에서 다수공급자계약(MAS) 2단계 심사요청 시 조사업체를 기존 5개에서 10개 이상으로 확대해 참여의 공정성 시비를 줄임과 동시에 가격 제안율(평균 가격)이 낮아져 경제적인 가격으로 물품 구매가 가능하게 된다.  정성평가 전문가들이 참고하는 심사자료는 업체명 및 발주부서의 의견(점수)을 블라인드 처리 후 제공하고 전문가 참여 인원을 기존 5명에서 7명으로 확대한다. 정성평가 항목의 제품선호도를 평가항목에서 제외하고 기술성 또는 내구성을 평가항목에 추가한다.  정량평가 중 가격 비중을 5점 하향 조정(1억원 미만 50점→45점, 1억원 이상 55점→50점)하고 1억원 미만 물품에 대해서는 수요기관 만족도를 평가항목에 추가해 5점을 배점한다.  물품선정관리시스템은 오는 2024년 상반기까지 기 운영 중인 신기술플랫폼시스템 내에 구축해 기관별 동종물품 구매현황, 각종 통계 및 업체 선정 현황 검색 기능 등을 추가하고 기존 서면으로 진행된 전문가 정성평가는 온라인 평가를 도입해 평가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방침이다.  1억원 이상 단일등록제품 구입은 신기술심사과 주관으로 신기술플랫폼 전문가 인력풀을 활용한 위원 5명을 선정, 심의위원회를 개최해 구매타당성, 대체품 및 적정여부를 심사한다. 강두용 기자kwondrumkakao@daum.net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