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광역행정기획단(이하 기획단)은 국가균형발전위원회·한국산업기술진흥원 주관 `2022년 초광역협력 기획발굴 및 컨설팅 지원사업` 공모에서 2개 과제가 선정됐다고 밝혔다.  이번에 선정된 과제는 `대구경북 초광역협력 중장기 발전전략 기획`과 글로벌 메가시티 선도사업 분야에 `대구경북 와이드밴드갭(WBG) 반도체 생태계 조성사업`으로 기획비용(각 6000만원, 1억원)과 전문가 컨설팅을 지원받아 오는 12월 말까지 계획을 수립하게 된다.  초광역 경제권 형성 및 메가시티 조성을 위한 `대구경북 초광역협력 중장기 발전전략`은 대구경북연구원이 주관연구기관으로 대구시·경북도를 비롯한 대구·경북테크노파크 등 지역혁신기관이 참여한다.  초광역권 발전계획은 오는 8월부터 시행되는 국가균형발전법 및 국토기본법 개정안에 근거한, 5년 단위 지역 주도로 수립하는 법정계획으로 초광역권의 발전 목표와 현황, 초광역권 협력과 투자재원 조달 내용 등을 포함한다.  특히 산업, 사람, 공간 등 분야별 초광역협력 촉진 정책에 따라 경쟁력 있는 대구경북 초광역권 전략산업을 선정해 지역산업 육성 및 일자리 창출, 지역대학 혁신 및 지역인재 양성, 전략산업 성장거점 확충과 정주여건 개선 및 생활권 확장에 따른 광역교통망 조성방안 등을 포함한 분야별 추진과제를 도출한다.  이렇게 마련된 발전전략은 지난 10월 발표한 정부의 초광역협력 지원전략에 따라 `범정부 초광역 지원협의회` 검토와 균형위 심의를 거쳐 국가균형발전 5개년 계획에 반영하고 분야별 해당 부처와 지역발전투자협약을 체결해 국비지원 등 맞춤형 지원받을 계획이다.  아울러 선도사업 분야에 선정된 `대구경북 와이드밴드갭(WBG) 반도체 생태계 조성사업` 기획에는 대구경북연구원이 주관연구기관으로 구미전자정보기술원, 포항나노융합기술원, 대구테크노파크 나노융합실용화센터, 경북대 반도체융합기술원이 참여한다.  대구시와 경북도는 기존의 수도권, 대기업, 메모리반도체, 실리콘(Si) 중심의 정부주도 `K-반도체 전략`과는 차별화된, 지방, 중소·중견기업, 시스템 반도체, 와이드밴드갭(WBG) 중심의 반도체 전략으로 산학연관 밀착 협력 여건이 우수한 구미·포항·대구 중심의 초광역 협력 체계를 구축해 포스트 실리콘 시대를 대비한 와이드밴드갭 신소재 반도체 기반의 소재·부품·장비 연구개발 및 국산화 생태계 조성사업을 기획하고 국비를 확보할 방침이다. 이명열 기자rositante@kakao.com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