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수력원자력(이하 한수원)이 `신재생e 통합관제센터`를 구축하고 정부의 재생에너지 발전량 예측제도에 참여하고 있다.  발전량 예측제도는 20MW 이상 태양광 및 풍력 발전사업자 등이 재생에너지 발전량을 하루 전에 미리 예측해 제출하고 당일 오차율 8%(전력거래소 중앙예측 오차율 수준) 이내로 이행할 경우 정산금(3~4원/kWh)을 지급하는 것으로 지난해 10월 도입됐다. 이는 재생에너지 확대에 따른 출력 변동성 대응을 위한 제도다.  이에 한수원은 지난해 한수원이 보유한 태양광, 풍력 발전소를 통합, 관리하는 `신재생e 통합관제센터`를 구축했다. 센터에서는 전국에 분산돼 있는 한수원의 신재생에너지설비 운영 데이터를 축적, 하나의 가상발전소(VPP)를 만들어 이달부터 발전량 예측제도에 참여하고 있다.  강영철 한수원 재생에너지처장은 "앞으로 한수원 자체 설비 뿐 아니라 외부 신재생에너지설비도 모집해 발전량 예측제도 참여 용량을 확대할 것"이라며 "가상발전소 시스템 운영능력 향상을 통해 예측 정확도를 높이고 전력중개사업 분야의 새로운 사업 모델로 확산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김희동 기자press88@hanmail.net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