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미 시민이 철저히 배제된 졸속, 밀실, 야합 행정이다".
김재상 구미시의회 의장이 성명서를 통해 대구취수원 구미 이전 관련 밀실야합 협정체결을 즉시 중단하라며 이같이 강력 비판했다.
김재상 의장은 지난 1일 대구취수원 이전 관련 맑은 물 나눔과 상생발전에 관한 협정서 체결에 대한 성명서를 발표했다.
김 의장은 성명서를 통해 "환경부·국무조정실·수자원공사·대구시·경북도·구미시가 체결하려던 맑은 물 나눔과 상생발전에 관한 협정서 체결은 구미 시민이 철저히 배제된 졸속, 밀실, 야합 행정이다"고 지적했다.
그는 "구미시의회는 우리 시민을 둘로 갈라놓은 이번 협정서 체결이 잘못됐음을 구미시장에게 지속해서 의견을 전달했다. 하지만 협정서 체결이 4일 이뤄진다는 소식에 구미시민의 목소리를 대변하는 구미시의회에서는 지난달 31일 전체 의원 간담회를 긴급 소집해 협정서에 관한 여러 대응방안을 논의하던 중 경북도지사의 협약식 불참, 대구시장의 참석 여부 불투명 등으로 협정서 체결이 또 한 번 시민의 뜻이 아닌 정치적인 이유로 무산됐다는 소식을 들었다"고 했다.
이어 "안도의 한숨을 돌리기도 전 당일 저녁 쯤 대구시의 요청에 의한 것인지 구미시가 아닌 제3의 장소에서 계획된 협정서를 체결하겠다는 소식을 접하게 됐다"며 "경북도에서 구미는 작은 도시가 아님에도 이렇게 시민의 목소리가 철저히 무시당한 것에 안타까움과 42만 구미 시민의 목소리를 하나로 만들지 못한 우리 의회의 잘못을 인정하면서도 힘의 논리에 의해 우리 구미시가 뺏겨야 할 것이 얼마나 더 있을지 모르기에 큰 분노를 느낀다"고 강조했다.
김재상 의장은 구미시의회를 대표하는 의장으로서 대구시라는 광역지자체의 힘의 논리에 생존권을 위협받는 구미 시민들을 대변하는 목소리를 냈다.
김 의장은 "환경부, 국무조정실, 수자원공사, 대구시, 경북도, 구미시는 구미시민이 배제된 채 밀실 야합 협정체결 시도를 중단하라"며 "환경부는 책임감 있게 정책을 추진할 수 있는 차기 당선자가 협정을 맺을 수 있도록 협정서 체결을 중단할 것"을 강력히 촉구했다.
박의분 기자ub0104@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