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는 29일 영남대학교 중앙기기센터 회의실에서 `2022년도 화학물질취급사업장 시설개선 사업추진 협의회`를 개최했다.  협의회는 화학사고 없는 안전한 지역을 만들기 위해 7개 시·군, 경북녹색환경지원센터 및 민간전문위원 등이 참석해 안전진단 수행업체 선정 등 주요안건 심사를 진행했다.  경북도는 올해 4월부터 사업비 6.25억원을 투입해 화학사고 및 유독물질 누출사고 위험성이 높은 화학물질취급사업장 25개소를 선정(중소기업 1순위, 중견기업 2순위)해 정밀안전진단을 실시하고 노후설비 개선을 지원하는 사업을 추진한다.  4~6월까지 사업장 현지조사와 정밀 안전진단 및 기술지원을 실시하고 7~10월에는 안전진단 결과를 바탕으로 사고예방시설을 보강하고 노후시설을 개선한다.  11월에는 사업 추진과정에서 드러난 문제점 등 사업장 의견 수렴하고 우수사례를 공유하는 성과보고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주로 방류벽, 트렌치, 유출방지턱 등 사고예방시설을 개선하고 저장탱크 배관 및 밸브 교체, 유출 경보시설 및 CCTV 보안시설 확충에 나선다.  이는 민간전문가의 자문을 받아 사업장의 현장 여건을 최대한 반영해 추진한다.  이 사업으로 중소기업의 안전관리 재정 부담 완화와 영세 사업장의 화학 사고 예방으로 인명, 재산 및 환경피해를 줄여 나갈 방침이다.  또 올해 1월부터 시행되는 `중대재해 처벌 등에 관한 법률`에도 대응해 나갈 예정이다.  최영숙 경북도 환경산림자원국장은 "어려운 경제여건으로 중소기업의 시설개선 투자에 어려움이 많다. 이번 사업을 통해 영세 사업장의 화학사고 위해요인을 제거해 나가겠다"며 "화학사고 예방을 위한 사업을 적극 발굴하는 등 안전망 구축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 사업은 유해화학사고를 예방하고자 2014년부터 경북도에서 전국 최초로 실시하고 있으며 지난해까지 8년간 251개 사업장에 대한 안전진단 및 시설 개선을 지원했다. 장영우 기자ycyw57@naver.com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